명재상 이야기 인물로 보는 우리 역사 2
박윤규 지음 / 보물창고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나 지금이나 정치란 비슷한 모양새를 띄나보다. 임금이든 대통령이든 우선 통치자의 자질이 중요하고 그 이상으로 사람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니 말이다. 그런데 가끔은 통치자가 유능한 인재를 썼기 때문에 정치가 안정된 것인지 아니면 통치자가 유능했기 때문에 인재를 쓸 수 있었던 것인지 헷갈리기도 한다. 물론 어느 한쪽만 이루어졌다면 결코 성공적인 정치를 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게 정답일 테지만. 특히 황희에 대한 부분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이 많이 들었다. 지금도 누구나 서슴없이 최고의 성군으로 꼽는 세종이 있었기 때문에 황희 같은 사람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일 테고, 반대로 황희 같은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세종이 더 힘을 받고 소신대로 통치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아무리 절대 군주라도 자신의 뜻대로 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기에.

지금도 대통령 혼자만 아무리 열심히 무언가를 하려한다고 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없다. 실무를 담당할 사람을 누구를 쓰느냐, 어떤 정책을 추구하는 사람을 기용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현저하게 차이를 보이곤한다. 그 옛날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라는 점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통치자를 최측근에서 보필하는 재상 중에서도 잘 한 사람을 이야기한다. 처음엔 인물 위주로 되어 있는 줄 알았는데 읽다 보니 시대별로 연결해서 설명을 하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은 이름은 들어 보았고 어떤 일을 했는지는 알고 있으나 정확히 어떻게 행동했는지 소신은 어땠는지는 모르고 있는, 그야말로 아주 대표적인 것만 알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실제로 황희에 대해서도 대충은 알고 있었으나 그의 인물 됨됨이나 정치적 행보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면서 세종과 황희가 있었기에 당시 문화와 과학이 상당히 발전할 수 있었던 것임을 깨달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정조 시대엔 채제공이 있었기에 문화 부흥기를 맞이할 수 있었던 것이고. 그렇다면 성군 뒤에는 반드시 이런 유능한 재상이 있었다는 얘기다. 그러면 유능한 재상이 있었기에 성군이 될 수 있었던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까. 최명길에 대한 부분을 읽으면 꼭 그런 것은 아니라는 생각도 든다. 유능한 최명길(물론 일부에서는 비판한다고는 하지만)이 있었다고 해도 유능하지 못했던 인조 때문에 삼전도의 굴욕까지 당했으니까.

시대별로 유능했던 재상들에 대한 것을 읽으며 대부분의 인물들은 상당한 인품과 학식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사대정신을 갖고 있어서 주체성을 갖지 못했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리가 <삼국사기>의 저자로 알고 있는 김부식도 그렇고 정몽주도 그렇고... 과연 그런 것들을 지난 역사라고만 단순하게 치부해 버릴 수 있을까. 지금은 어떤지 대입해 보는 것이 역사를 배우는 가장 큰 목적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또 하나의 공통점은 각 시대에는 언제나 당파 싸움이나 계파간 싸움이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사람이 살다 보면 모든 사람이 한 길로 마음이 모아질 수는 없지만, 적어도 상대를 인정해 주는 기본적인 자질은 갖추어야 할 텐데 그런 면을 갖고 있는 경우가 극히 드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대를 인정해 준 후 싸움을 할 때만이 긍정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 텐데 말이다. 이 또한 현재의 상황과 전혀 달라진 바가 없다. 어찌되었든 되도록이면 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바라보려 했던 작가의 노력 덕분에 독자도 치우치지 않는 눈으로 인물을 평가할 수 있는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