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영혼을 훔친 노래들 - 고전시가로 만나는 조선의 풍경
김용찬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워낙에 문학, 특히 시와 그 비슷한 장르와는 친하게 지내지 않았기에 내겐 접근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그나마도 씌어져 있는 것을 보면 어렴풋이 기억나는 것들이라곤 모두 학교 다닐 때 어쩔 수 없이 외웠던 것들이다. 그러니 내가 쉽게 이 책을 시작하지 못했음은 당연하다. 그러기에 고전시가를 특별히 이해하려고 노력하지도 않았다. 아마 이런 기회가 없었다면 내겐 아직도 머나먼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였을 것이다.

조선 시대 사대부들의 시조를 인용하며 그에 대한 해석을 하고 그것을 읊조렸던 이의 마음을 헤아려보는 방식을 취하는데 거의 대부분이 강호시조들이다. 아니, 어쩌면 나도 그들처럼 한적한 곳에 들어가 살았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기에 다른 여러 주제들이 있었음에도 책을 덮고 난 지금 마음에 남는 것은 그런 것들 뿐인지도 모르겠다. 누구나가 한번쯤은 소망했을 법한 그런 유유자적한 삶, 내지는 은둔자의 삶. 문득 한여름에 찾아갔던 계곡 물소리 요란하고 바람에 흔들리는 대나무 소리가 서늘했던 소쇄원이 생각난다. 국문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왜 이렇게 소쇄원을 이야기하는지 알 것도 같다. 전에는 들어본 적도 없던 곳이었는데...

그러나 저자도 지적했듯이 그건 어디까지나 어느 정도 경제적 여건이 뒷받침되었던 양반들의 이야기일 뿐이다. 그러기에 잠깐 농사를 '체험'하는 그들의 시가에서는 기분 좋은 낭만만 느껴질 뿐 노동의 고통은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물론 조선 후반기에는 신분제의 붕괴로 인해 궁핍한 삶을 살았던 양반들도 있었다지만 양반이 읊었던 시조와, 양반이 아니었을 것 같은 작자미상의 작품을 읽을 때는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 이렇듯 글이라는 것은 아무리 포장을 한다해도 자신의 생각과 활동의 범위를 벗어날 수는 없는가보다. 그래서인지 관념적인 사대부들의 시가를 읽을 때보다 작자미상의 사설시조를 읽을 때가 훨씬 마음이 편했고 한편으론 통쾌했다. 이 즈음이면 강호시가보다는 현실을 풍자한 글들이 더욱 마음에 남는다. 그럼 뭐지. 모두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이란 얘긴가.

많은 시조를 읽는데 해석해 주지 않으면 무슨 뜻인지 모를 것들이 많아 참으로 난감했다. 해석해 놓은 글을 읽으면 당연해 보이는데 왜 전엔 암호처럼 보였을까. 마치 외국어를 접하는 기분이라고나 할까. 물론 한자로 된 것들이 대부분이고 끊임없이 변하는 언어의 특성상 남아 있는 말이 거의 없으니 그럴 수도 있겠지만. 여하튼 그들의 시조를 통해서 단순히 해석하는데 그친 것이 아니라 마음 속으로 교감하는 좋은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