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조선사 - 역사의 새로운 재미를 열어주는 조선의 재구성
최형국 지음 / 미루나무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요즘 왜 이렇게 역사에 대해 관심이 가고 흥미가 느껴지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책을 이것저것 읽다보니 조금씩 연결되는 부분도 있고 전혀 몰랐던 걸 아는 재미에 빠져있다. 특히 주류에 속한 이야기보다는 거기에서 약간 벗어난 이야기가 더 재미있다. 아마도 주류에 속한 이야기는 학교에서 지루하게 배웠던 것들이고 딱딱하며 경직된 느낌의 역사였기 때문일 것이다. 원래 야사가 더 재미있고 그럴 듯한 것이 사람냄새가 느껴지는 법이니까.

이번에도 역시나 주류에서 약간 벗어난 이야기를 읽게 되었다. 왕을 중심으로 한 역사도 아니고 이름 난 인물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도 아닌 그야말로 인간 냄새가 물씬 풍기는 책이다. 물론 여기서도 왕을 다루긴 하지만 그건 왕의 정치적인 면에 초점을 맞췄다기 보다 한 인간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렇기에 불꽃놀이에 빠진 성종에게 신하들이 간곡히 그만둘 것을 권유해도 온갖 궁색한 이유(이유라기 보다는 어거지에 가깝다.)를 들어가며 결국은 자신의 의견을 관철하는 임금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내가 관대하게 접근을 해서인지 그런 임금이 독선적으로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애교(?)로 느껴지기까지 한다.

사람들은 내가 경험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일종의 환상과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 특히 조선 시대의 생활에 대한 정보는 책에서도 얻지만 그들의 말이나 행동 등 동적인 정보는 주로 드라마나 영화에서 얻은 정보를 얻는다. 그래서인지 거기서 다루지 않는 것들은 생각할 수가 없다. 누군가가 '이랬단다'라고 이야기해 주어야 그제서야 '그럴 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 역사에서도 조폭이 있었으며 바다에 표류하다가 다른 나나로 가서 우여곡절 끝에 돌아온 사람도 있으며(당연한데 왜 지금까진 생각을 못했을까. 탐험이나 바닷길에 대한 이야기는 지나치게 서구의 이야기만 들었기 때문에 우리의 상황은 생각할 여유가 없었나보다.) UFO 비슷한 것에 대한 이야기도 있단다. 과연 역사에 기록된 UFO와 비슷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궁금하다.

특히 저자가 무예24기 시범단장으로 활동하고 있어서인지 무예에 대한 내용에서는 신나서 설명하는 모습이 느껴진다. 그리고 그에 대한 열정도 함께 느껴진다. 많은 그림자료들을 제공하고 있어서 글 뿐만 아니라 그림 보는 재미도 한몫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야기가 정확한 사료를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추측형 문체가 많아서인지 정말 그랬구나라는 생각을 하진 못하겠다. 때로는 좀 더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추론을 하길 바라며 읽었으나 마지막 결론은 명확하질 못했다. 그래서 원래 이런 종류의 책을 읽으면 새로운 상식을 얻는 기쁨을 만끽하게 되는데 이 책은 읽고 나서도 반신반의하는 마음이 남는다. 그냥 아니면 말고 식의 문체는 지양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