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가 들려주는 백범 일지
이경순 지음, 송준일 그림 / 세상모든책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에 뉴라이트 진영에서 새로 쓴 역사 교과서가 발표되었다. 그런 역사서를 쓸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돌 때부터 논란이 많았는데 결국은 나왔단다. 어차피 역사를 해석하는 것은 한 가지 길만 있는 것이 아니고 변할 수도 있다고는 하지만 이번의 경우는 많은 논란을 안고 있다. 그럼에도 그것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에 무력감을 느낀다. 아무래도 잃어버린 10년을 되찾았다며 환호하는 현재의 시점과 무관하진 않아 보인다. 

그들이 달리 해석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김구에 대한 평가였다. 지금까지는 이승만에 대해 비판적이고 김구에게 우호적이었던 반면 뉴라이트 진영에서 펴낸 역사책에서는 그와 정반대의 견해를 내놓았다. 요즘 이승만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사람들이 늘고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김구에 대한 평가를 깎아야만 했을까. 대척점에 있는 상대를 내려야만 내가 올라가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당연히 읽어야 할 책이 바로 김구의 <백범일지>가 아닐까 싶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차일피일 미루기만 하고 제대로 읽진 않았다. 하도 많이 들어서 읽었다고 착각할 정도라는 이유도 있겠지만 딱히 계기가 없었던 탓도 있다. 그러고보니 외국 인물에 대한 것은 잘도 찾아 읽으면서 정작 읽어야 할 것은 읽지 않았다는 마음이 들긴 한다. 그래도 이렇게 읽었으니 다행이다.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책이라 내용도 길지 않고, 이 시리즈의 특성상 김구가 자신의 이야기를 해주는 방식이어서 잘 넘어간다.

워낙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기에 대략적인 사건만을 기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그래도 그의 삶을 알아보고 그의 마음을 알아보기엔 충분한 내용이었다. 짧게 고문을 당했다거나 형무소에서 살았다고 나와있지만 그 시간이 그리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래도 꿋꿋하게 모든 시련을 이겨내고 결국은 독립을 맞았으니 다행이다. 물론 독립이 되었다고는 하지만 그것이 백범에게는 오히려 죽음으로 가는 길이 되었지만. 그들이 상해에서 조직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독립 후에도 큰 역할을 하지 못한 것은 어쩌면 개인의 잘못이라기 보다 상황에 따른 원인이 컸을 것이다.

책 내용에서 1945년 8월 7일에 미국과 비밀공작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한다. 그 즈음이라면 이미 일본과 한국의 식민지배에 대한 협상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협상이라기보다 일본이 미국에게 한국의 지배권을 유지하기 위해 물밑작업을 하고 있었단다. 그런데 미국이 들어주지 않고 결국은 원자폭탄을 떨어트린 것이고. 그렇다면 미국은 한쪽에선 일본과 협상하고 한쪽에선 임시 정부와 협상한 셈이다. 즉 김구도 미국으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그들은 단지 공산권이었던 중국과 가까이 지내는 것이 거슬렸을 뿐이겠지. 이것이 여기저기서 주워 들은 이야기를 나름대로 짜맞춰 본 내 결론이다. 어찌 되었든 김구라는 인물이 우리의 자주적인 독립을 진정 바라고 있었고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었던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그가 서거한 지 60년이 다 되어가지만 그가 원하던 세상에 얼마나 근접해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