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임금 이야기 인물로 보는 우리 역사 1
박윤규 지음 / 보물창고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얼마전 딸의 참고서를 보다가 고조선의 이름에 대한 내용을 보고 그동안 내가 알고 있던 내용과 달라 의아해했던 적이 있다. 이리저리 알아본 결과 내가 알고 있던 내용도 맞고 참고서에 있는 내용도 맞으나 참고서는 현재 국사편찬위원회의 입장을 기준으로 했던 것이다. 즉 내가 그동안 여기저기에서 읽고 들은 이야기는 일종의 야사인 셈이다. 아직까지 우리 역사에 대해 제대로 정립된 학설이 없다는 것이 안타까웠고 화도 났다. 아무리 역사는 재평가되고 새로 발견될 수도 있다지만 지금 우리는 과연 그것에 관심이나 있는지 의문이 들기도 한다. 그렇다고 비전공자에 그에 관한 지식이 전무하다시피 한 나 같은 사람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것을 모으고 분류하여 정리할 수도 없지 않은가.

그런데 새로운 접근을 하는 역사책을 만났다. 흔히 알고 있는 이야기를 무조건 받아들이고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더 생각하고 왜 이런 이야기가 나왔을까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하는 그런 책이다. 사실 내가 학교 다닐 때만해도 단군신화는 단순히 신화로써만 존재했지 그것이 지니는 의미는 알지 못했다. 선생님들이 이야기해 주었는데 내가 잊어버린 것일 수도 있겠지만 역사적 흐름으로 보아서 그런 것은 아닌 것 같고 당시에는 모두 그런 식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인 것 같다. 역사 속 신화를 이렇게 새롭게 바라보기 시작한 것이 불과 얼마 되지 않았으니까. 그런데 이 책은 거기서 더 나아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그러면서도 무조건 저자의 말이 옳다거나 이런 것이라고 단정짓지 않는다. 이런 주장도 있으며 앞으로 얼마든지 변할 수 있고 다른 해석이 나올 수도 있다는 것을 계속 주지시킨다. 이 책을 신뢰하는 이유다.

많은 역사 중에서도 특히 나라를 처음 세운 임금들을 모아 놓은 이야기로 모두 한번 쯤은 들어본 이야기라고 생각하겠지만 책을 조금씩 읽다 보면 전혀 새로운 이야기가 꼭 들어있음을 알고 놀라게 된다. 그리고 아직 새로 밝혀야 할 것이 많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좋았던 것은 다양한 해석을 다 이야기해주고 있다는 점이다. 역사를 연구하지 않는 사람이 그런 다양한 학설을 일부러 찾아가며 읽진 않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사람의 연구 결과를 보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삼국사기>가 정사로 인정은 받으나 사대사상이 녹아 있고 승자의 역사만을 기록했다는 비판이 있는 반면 <삼국유사>는 야사지만 오히려 더 많이 사랑을 받고 풍부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도 이젠 한 가지 해석에 얽매인 역사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이처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책들이 더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03-25 21: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봄햇살 2008-03-25 2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학년이 읽어도 괜찮을 거에요. 아빠가 들려주는 방식이라 그리 어렵지는 않아요. 다만 내용이 기본적인 역사를 알고 있어야 이해하기에는 좋겠지요.
전... 아이세움의 책 <내 동생 싸게 팔아요>랍니다. 그 책 저학년에게 읽히기 좋고 이야기 나눌 '꺼리'가 있는 책이랍니다. 독서교실에서 써도 될 거에요.

순오기 2008-03-27 23:41   좋아요 0 | URL
옙, 한번 살펴볼게요. 유감스럽게도 제가 읽은 책도 아니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