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는 어떤 관청이 있었을까? - 나랏일 돌보던 곳, 관청 이야기,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역사 깊이 읽기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 역사 넓게 보기 1
박영규 지음, 구연산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의 인사동은 예전에 도화서가 있던 자리라고 한다. 사실 그 전에는 도화서라는 곳이 일반인들에게 그다지 알려지지도 않았다가 드라마에서 다루면서 지금은 보통명사처럼 되었다. 대개의 사람들이 아는 관청이 된 것이다. 하긴 생과방이니 소주방이니 하는 명칭들도 실은 드라마를 통해 알게 된 것이니 어쨌든 그런 드라마가 있었다는 것에 대해 다행이라 생각해야 하나보다. 

올해 새정부가 들어서면서 조직체계를 완전히 바꾸는 바람에 아직도 부처 이름들이 낯설다. 그렇다면 왕권제였던 조선시대에는 어땠을까. 또 조선 시대 관청은 어떤 것이 있을까. 물론 학교 다닐 때 얼핏 들었던 것들이 있긴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시험용이었을 뿐이지 정말 궁금해서 접근한 적은 없었다. 그런데 요즘 왜 이렇게 역사에 대해 관심이 가고 재미있고 궁금한 게 많은지 모르겠다. 그러다 급기야 조선의 관청에까지 눈길이 가게 되었다. 아, 이런 책도 있구나. 이런 책이 있으면 그 시대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는 것은 당연하다. 게다가 저자도 역사책 분야에서는 이미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사람이라니 더 이상 따질 게 뭐가 있을까.

이 책을 통해 조선 시대의 중앙 관청에 대해 세세하게 알아보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익히 알고 있었던 삼사와 의정부, 6조 등과 지방 관청까지 두루 알 수 있었다. 책의 대부분은 중앙 관청 이야기에 할애하는데 그 이유는 지방 관청이 중앙 관청 체계를 따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더 자세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중간중간 들어 있는 그림으로 각 관청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도와주어서 그림 보는 재미도 있었다. 그 옛날에도 왕의 취향이나 관심사에 따라 중점을 두는 관청이 달라졌다고 하니 사람 사는 세상은 어디나 어느 시대나 비슷한가 보다. 생소한 이름들이 있어서 그렇지 전개 자체는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에 나오는 '역사 깊이 읽기' 부분은 다른 곳에서 쉽게 접하지 못했던 것들이어서 새로운 것을 많이 알게 되었다. 각 관청에 대해 궁금할 때 찾아볼 수 있는 아주 유용한 책이다.

이 출판사에서 나온 통사 시리즈를 모두 갖고 있는데 이젠 분야사 시리즈를 모을 차례다. 벌써부터 다음에 나올 것이 기대되니 어쩌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