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 위대하지 않다 (양장)
크리스토퍼 히친스 지음, 김승욱 옮김 / 알마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난 특별한 종교가 없다. 아니 관심이 없다. 그러나 간혹 어떤 종교든 의지할 무언가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긴한다. 하지만 워낙 선천적으로 무조건 믿는 것을 못하는 성격 때문인지 아니면 게을러서 믿음을 실천할 자신이 없어서인지 종교를 가져야겠다는 결심은 서지 않는다. 주변에는 기독교를 믿는 친구도 있고 불교를 믿는 친구도 있으며 카톨릭을 믿는 친구도 있다. 다만 아직 이슬람을 믿는 친구는 만나지 못했다. 그렇다고 그들과 대화할 때 종교가 커다란 걸림돌이 된다거나 의견차이를 보인 기억은 없다. 어쩌면 대화에서 종교에 관한 문제는 배제했기 때문에, 애당초에 문제거리를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표현이 정확할 수도 있겠다. 그래도 남의 종교를 최대한 존중해 주려 노력한다. 왜냐, 나와 별 상관이 없으니까.

책을 읽는 내내 불편했다. 내가 종교를 가지지도 않았고, 그래서 내가 철썩같이 믿는 종교가 비판을 받는 것도 아닌데 왜 그랬을까. 저자는 지나치게 자기 중심적인 논조를 띠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 굳이 '생각이 든다'는 표현을 하는 이유는 이렇게 박식하고 유명한 사람의 의견을, 그리고 저작을 종교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아는 것도 별로 없는 일개의 독자가 어떻게 함부로 평가할 수 있겠나라는 두려움 때문이다. 어쩌면 비난을 피해갈 수 있는 길을 미리 만들어 놓는라 그런 것일지도 모르겠다. 영미 언론이 선정한 100인의 지식인 가운데 5위에 손꼽히는 사람답게 다양한 인물들을 인용하고 그보다 더 다양한 많은 서적들을 인용한 '덕분에' 그 중 읽어본 것이 별로 없는 나는 나의 무지를 개탄하며 읽어야 했다. 이제부터라도 잠자는 시간과 밥 먹는 시간까지 아껴가며 더 많은 책을 읽어야 하나...

그러잖아도 요즘 종교에 대해 이런저런 생각을 하던 차였다. 이슬람에 대한 내 고정관념을 깨는 계기도 있었고 우리나라에서도 다른 사람들은 사이비 종교라고 비판하는데도 정작 그 신도들은 우상처럼 떠받드는 모습을 보며 종교란 알다가도 모르는 것이라는 생각을 하던 차였다. 그래서 더 이 책에 끌렸는지도 모르겠다. 나도 신은 위대하지 않다는 의견에 진작부터 동의하고 있던 차였고. 그 어떤 종교도 순수하다거나 절대적이라거나 위대하다는 환상을 버린지는 이미 오래되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그러리라 생각한다. 아마 어떤 종교를 믿는 사람조차 자신의 종교가 절대적이라고 믿는 사람은 극히 일부 아닐까. 다만 인간은 불완전하기에 자신의 마음을 의지할 곳을 찾는 것 뿐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는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 초점을 맞췄다기 보다 종교의 원론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고 거기서부터 사람들로 확대한다. 예수에 대한 논쟁이나 모하메드에 대한 논쟁 등은 이미 새로울 것은 없었다. 그러나 해당 종교를 바라보는 시각은 지나치게 편파적이었다고 생각한다. 카톨릭이나 기독교에 대한 집단적인 광기나 횡포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특히 이슬람에 대해서는 적대감마저 갖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느낌이 들 정도였다. 종교를 객관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지극히 주관적이고 독선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은 아니었을까. 어느 종교든 그 종교에 심취한 사람이 읽는다면 반응이 어떨까 자못 궁금하다. 저자가 재치 있고 대단한 은유를 씀으로써 웃음짓게 만드는 것에는 동의한다. 하지만 간혹 매끄럽지 못한 번역으로 인해 재치가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것 같은 느낌도 들었다. 미국에서는 대단한 인기를 쓴 베스트셀러라고 한다. 아마 그들의 문화권에서는 생활의 연장선상에서 충분히 공감할 수 있고 통쾌함을 느낄 수 있었을 것 같다. 하지만 지식이 너무 협소한 내게는, 그리고 종교에 대해 두루 알지도 못하는 내게는 그다지 공감이 되지 않았다. 아마도 이것은 저자를 탓할 게 아니라 나의 무지를 탓해야 한다는 점, 인정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