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밤 학교에서 생긴 일 작은도서관 30
조영희 외 5인 지음, 신형건 엮음, 임수진 그림 / 푸른책들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작년이던가 '올해의 작가상' 시상식 겸 간담회에 참석했던 적이 있다. 처음에는 갈까 말까 망설였는데 집으로 돌아올 때는, 그리고 이 글을 쓰는 지금도 그 때 가길 잘했다고 생각한다. 그때의 수상작들을 모아 펴낸 동화집 <수선된 아이>를 재미있게 읽었다. 그런데 그 작가들이 '학교에서 생긴 일들'을 주제로 다시 뭉쳤단다. 그리고 그 결과물이 바로 이 책이고...

전에는 미처 몰랐다. 단편의 맛을. 그러나 단편이 얼마나 중요하고 작가가 얼마나 고심해서 써낸 작품인지를 알고 난 후(이것도 실은 그때 어느 작가 겸 비평가가 했던 말인데 '문학'이라는 것을 잘몰랐던 내겐 큰 충격이었다.) 단편집들이 다시 보이기 시작했다. 이제 6학년이 된 딸에게 단편에 대한 위의 사실을 이야기해 줬더니 자기는 단편이 싫단다. 그 이유는 재미있을만하면 끝나기 때문이라고. 아마도 그만큼 재미있있다는 반증이 아닐까싶다. 

학교 들어가기 전에는 무척이나 가고 싶어하는 곳, 그러나 일단 발을 들여놓으면 떠날 날만은 기다리는 곳이 학교가 아닐까. 하지만 친구가 삶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청소년기가 되니 학교가 재미있고 가고 싶단다. 친구를 만날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가고 싶은 곳이든 가기 싫은 곳이든 무조건 가야만 하고 적응해야 하는 학교에서 아이들은 무슨 경험을 할까. 부모가 알고 있는 아이들의 학교 생활은 극히 일부일 것이다. 그러기에 보통의 아이들의 모습을 엿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작가들은 어떻게 엿보았을까.

한자 시험을 보는데 책받침이 말을 한다는 것을 알고(근데 지금 아이들도 책받침을 쓰던가?) 얄미운 옆짝꿍의 답을 몽땅 가져와 달라고 해서 코를 납작하게 해주지만 시키지 않은 한자 공부를 열심히 하게 된다는 이야기부터 올백을 맞기 위해 시험지를 빼낼 계획을 하는 아이에 대한 이야기, 동자 스님 제자와 선생님의 인간애가 느껴지는 이야기 등 여섯 개의 단편들이 모두 재미있으며 독특한 배경과 전혀 다른 맛을 보여준다. 

흔히 학교를 주제로 한 이야기라면 왕따가 나오고 공부 잘 하지만 얄미운 아이가 나와서 결국은 잘 지내게 된다는 뻔한 이야기가 나오리라고 기대하면 오산이다. 여기서는 그 어느 것도 어른의 입김을 느낄 수가 없다. 그저 아이들은 아이들만큼 생각하고 행동하며 어른은 어른대로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라고 하지 않는다. 그래서 시험지를 빼내겠다는 당돌한 계획을 세우고 성공했어도(빼내는 데까지만) 그것을 가지고 문제삼지 않는다. 요즘은 점점 더 동화들이 아이들 마음을 이해하고 그들의 입장에서 전개해 나가는 것을 느낀다. 여기 있는 작품들도 대부분, 아니 다 그렇다. 그래서 좋다. 그렇기에 아이들에게도 공감을 충분히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