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의 행복한 여행 - 수거에서 재활용까지 지식의 씨앗 시리즈 2
제라르 베르톨리니.클레르 드라랑드 지음, 유하경 옮김, 니콜라 우베쉬 그림 / 사계절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쓰레기 분리수거에 강박증을 보일 정도로 신경을 쓴다. 그러나 간혹 어느 곳에 버려야 할지 몰라 비슷한 쪽에 그냥 버린 적이 있다. 그러면서 과연 이렇게 분리수거를 한다 해도 다시 누군가가 재분류를 해야할텐데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또 병을 분리할 때 뚜껑은 따로 버린다해도 병에 붙어 있는 알루미늄은 떼어낼 수가 없으니 그냥 버리게 된다. 이럴 때도 누군가가 다시 한번 작업을 해야겠구나라는 생각을 역시나 한다. 그러면서도 내가 더 이상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음을 절감한다. 그럴 때마다 세세한 분류 방법을 알려주는 설명서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전에 그런 설명서를 엘리베이터에 붙여 놓았지만 너무 복잡하고 까다로워서 그냥 무시했던 기억이 난다. 이러니 이상과 현실은 따로라고 하는 것인가.

평소에 그런 생각을 했었다. 과연 이렇게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을 어디에 어떻게 '다시' 사용하는 것일까. 만약 직접 과정을 보거나 간접적으로라도 어떻게 재활용이 되는지 안다면 분리수거하는데 약간의 도움이 되지 않을까하고 말이다. 그저 막연히 다시 재활용이 된대가 아니라 구체적으로 어떻게 재활용이 되는지 안다면 버릴 때 좀 더 정확하게 버릴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했다. 그런데 이 책을 보니 내가 궁금했던 것들이 나와 있다. 물론 더 정확히 나왔으면 좋았겠지만 이 정도가 어딘가. 이 책을 보며 한 가지 안심했다. 내가 때로는 어느 쪽으로 넣어야 할지 몰라 대충 버린 것들도 누군가가 다시 정확히 분리를 한다니 다행이다.

며칠 전에 먹다 남은 물약을 버리며 참 안타까워했었다. 언젠가 약품을 함부로 버리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생각났기에. 그러나 아직은 달리 도리가 없다. 여기서도 그 이야기를 하는데 아직 우리나라에는 서울의 일부에서만 폐약품을 수거하고 있단다. 몇몇 외국에서는 국가적으로 시행한다고 하던데 아직 우리는 그런 의식이 부족한 것 같다. 그리고 야외에서 과일 껍질을 버리며(어쩌다) 금방 썩으니까 괜찮을 것이라 생각했었는데 결코 그게 아니란다. 그러한 것이 썩는데도 짧게는 3개월에서 2년까지 걸린단다. 앞으로는 절대 그러지 말아야지. 또 하나, 껌도 음식물로 생각해서 쉽게 썩을 것이라 여겼는데 5년이 걸린단다. 어휴, 이건 정말이지 전혀 의외다.

앞으로는 세계적으로 환경이 주요 이슈가 될 것이다. 아직 미국이 환경협약에 협의를 하지 않아서 그렇지, 만약 미국이 합류하게 되면 결코 쉽게 넘어가려 하지 않을 것이다. 항상 문제가 터진 후에 부랴부랴 뒤쫓아가며 대책을 논의할 것이 아니라 미리미리(이미 늦었지만 그래도)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미래를 이끌어 갈 어린이들에게도 환경에 대한 인식을 일깨워서 그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 충분히 대처할 만한 기반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어른들은 아직도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 그저 개발만 외치고 있으니... 그나저나 이 책은 외국 작가가 쓴 책이라 우리 현실과 딱 맞는 것은 아니지만 중간중간 우리 현실을 적어놓고 있어 많은 참고가 된다. 아이들 책 중에서 환경을 다루고 있는 책이 의외로 별로 없는데 이 책은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이 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 이런 책이 앞으로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이왕이면 우리 작가가 쓴 책이라면 더 좋겠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