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타이크 창비아동문고 237
진 켐프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오승민 그림 / 창비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뒷표지에는 이렇게 씌어 있다. '정의로운 말썽꾼 타이크가 끝까지 말썽 부린 이야기'라고. 대개 어린이책에서 말썽을 부리는 아이가 결국 말을 '잘 듣게 되었다'고 결론짓게 마련이건만 이 책은 그런 기대를 하지 말아야겠다고 마음 다잡으며 읽었다. 뭐, 나도 아이들 편에 서 있는 작품을 좋아하니까.

처음부터 타이크의 말썽이 전개되지만 개념있는(?) 내가 보자면 결코 말썽이라고 할 수가 없다. 단지 대니를 안 좋은 상황에서 구해주려고 했을 뿐이다. 게다가 남들은 알아듣지도 못하는 대니의 말을 타이크는 통역까지 해 주면서 감싸고 있지 않은가. 모든 일을 볼 수 있는 독자는 타이크가 결코 말썽쟁이가 아니며 못된 아이는 더더욱 아니라는 것을 알지만 사건의 한 면만 보는 선생님이나 교장(여기서는 대장이라고 한다.) 선생님은 결과만 보기 때문에 타이크를 말썽쟁이로 못 박는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대장 선생님도 타이크가 거짓말을 할 아이는 아니라는 것을 인정해 준다는 점이다.

대니는 심각한 언어장애가 있고 지능도 떨어지지만 타이크는 그런 대니를 돌봐주는 것이 아니다. 그냥 자신과 동등한 입장에서 '함께' 한다. 우리의 선입견이나 고정관념으로 보자면 대니는 분명 돌봐주고 이해해줘야 하는 아이지만 타이크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그들은 그야말로 환상의 콤비다. 대니가 선생님의 돈을 허락없이 가지고 나온 일이며 타이크가 친구 마틴을 때린 일, 그리고 역시나 타이크가 시험지를 몰래 빼낸 일 등 항상 함께 한다. 그러나 일의 이면을 보면 모두 대니를 위해서 한 행동이다. 상황판단을 잘 못하는 대니가 선생님의 돈을 본의 아니게 훔쳐 오자 원래 자리에 놓기 위해 애쓰다가 결국 실패한 것이고 대니가 시험에서 낙제할까봐 부정을 저지른 것이니까. 그러나 뭐니뭐니 해도 마지막의 말썽은 정말 못 말린다. 이건 순수하게 대니와 상관없이 타이크가 저지른 말썽이었다. 아마 그래서 끝까지 말썽부린 이야기라고 했나보다. 졸업하는 날까지 거대한 사고를 쳤으니까. 

이 책은 타이크의 입장에서 쓰이다가 맨 마지막에 가서는 머천트 선생님의 후기로 끝을 맺는다. 어떤 책은 등장인물에 자신도 모르게 나를 대입시켜 읽는 데 반해 이 책은 끝까지 거리를 유지하게 만든다. 내가 마음이 혼란스러울 때 읽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르지만. 아마 일정한 거리를 느끼게 만든 원인 중 하나는 그들만의 역사적인 이야기들이 꽤 들어 있기 때문이 아닐까싶다. 그래서 역자는 빠른 사건 전개라고 했지만 난 줄곧 겉도는 느낌을 받았는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읽는 내내 뒷표지에 나오는 '깜짝 놀랄 반전'이 무얼까 기대햇다. 몇 장 남지 않았는데도 반전이 될 만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아 김 빠지려고 하는데 드디어 나왔다. 어떻게 하나의 사건도 아니고 단 한 마디로 이렇게 지금까지의 생각을 뒤집을 수가 있을까. 선생님의 말 한 마디로 지금까지 방관자로 타이크를 바라봤던 내가 갑자기 그 안에 들어간 느낌을 받았다. 그 부분을 생각할 때마다 웃음이 나온다. 왜 제목이 이럴 수밖에 없었는지(아직도 타이크와 타일러의 차이는 모르겠다. 짐작만 할 뿐이다.)도 단박에 이해가 간다. 단 한 마디의 위력, 참 대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