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흐린 날엔 그림책을 펴세요
야나기다 구니오 지음, 한명희 옮김 / 수희재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난 그림책 예찬론자다. 그렇다고 처음부터 그러니까 내가 좋아서 읽기 시작한 것은 아니었다. 아이를 키우면서 그림책을 알았고 그 매력에 빠져들었으며 그래서 결국은 어린이책과 관련된 일을 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아이에게 읽혀줄 목적으로 그림책을 보게 되었지만 지금은 내가 볼 목적으로 사는 경우가 더 많다. 물론 그렇다고 아이들을 전혀 의식하지 않는다고는 말하지 못하겠다. 그저 좋은 그림책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 아이들에게 읽히고 싶은 욕심이 생겨서 사는 것이 사실이니까.

책의 중반부를 넘을 때까지 작가가 여자라고 생각했다. 저자에 대한 소개를 읽고 시작을 했는데 당연히 여자라며 그에 맞춰서 머릿속으로 그림을 그렸다. 왜 그랬을까. 아마도 아들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해 방황했다는 이야기를 읽으며 그 상황에서 현실로 쉽게 돌아오지 못하는 이가 '엄마'라고 생각한 것이 첫 번째 착각이었으며, 그림책을 접하고 거기에 빠져들었다는 이야기를 읽으며 그것은 당연히 '여자'가 그럴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 두 번째 착각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저자가 남자라는 것을 안 순간 다시 소개를 봤다. 그때는 남자라는 것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졌다. 이런 모순이라니.

어쨌든 우연히 그림책의 매력에 빠진 후로 그림책을 알리는 역할을 자임했던 저자가 자신의 경험담을 진솔하고 편안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런데 인용한 그림책 대부분이 번역이 안 된 일본 그림책이어서 답답했다. 그러면서 이런 걸 왜 우리가 읽어야하지라는 괜한 심통도 났다. 물론 그 저변에는 왜 우리나라에는 이런 사람이 없는걸까라는 아쉬움이 더 컸겠지만 말이다. 어린이책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이 책을 보고 그림책에 빠져들 기회가 될 확률은 얼마 없어 보인다. 그만큼 보편적이지 않다는 얘기다. 그저 그림책의 매력을 알고 있는 사람이 읽으며 공감하는 책이라고나 할까. 내가 너무 비관적으로 본 것일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주장하는 이야기에는 전적으로 공감한다. 아, 나도 그림책의 매력을 알고 있기 때문에 공감을 하는 것이다. 또한 책 읽어주기를 했었고 그림자극도 했었기에 더욱 이야기에 공감한다. 그림자극이라는 것을 여간해서는 구경하기 힘든데 그것을 우리 모임에서는 벌써 4년인지 5년인지를 공연한다. 물론 행사 때만 해서 좀 아쉽지는 하지만. 그리고 그림책이라는 것을 유아나 저학년(사실 저학년들도 그림책은 시시하다고 생각하는 아이들이 많다.)들이나 보는 것으로 생각해서 고학년이 되면 거들떠 보지도 않는 것을 무척 안타까워 하고 있던 내 마음과 어쩜 그리 똑같은지. 그래서 지난 해 2학년에게 책 읽어주기를 하면서 고집스럽게 그림책을 선정했다. 물론 아이들 모두 너무 좋아했다. 이 좋은 그림책을 왜 유아들만 본다고 생각하느냐 말이다. 안타깝다. 이 책에서 소개한 책 중에서 진작 사고 싶었는데 미루었던 그림책을 주문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