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상 과학의 창시자 쥘 베른 - 세상에 빛이 된 사람들 16 세상에 빛이 된 사람들 16
조르디 카브레 지음, 박숙희 옮김, 빅토르 에스칸델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초등학생 때였던가 쥘 베른의 <해저 2만 리>를 읽으며 네모 함장의 냉정하고 때론 섬세한 모습에 마음을 빼앗겼던 기억이 난다. 특히 다른 사람들에게는 떠나라고 하며 자신은 노틸러스호에서 절대 떠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던 모습이 떠오른다. 그때 읽은 후로 다시 읽지도 않았는데 많은 장면들이 떠오르는 것을 보니 꽤나 인상깊게 읽었었나보다. 그러나 그 책을 지은 작가가 쥘 베른이라는 것을 안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당시에는 작가에 대해 그다지 관심이 없어서였을까. 아니, 추리소설 작가들은 줄줄이 꿰고 있었던 것을 생각하면 꼭 그런 것도 아니었을 것이다.

지금이야 별로 신기할 것도 없는 잠수함에서의 생활이나 바다속 깊은 곳의 모습이겠지만 잠수함이 나오기도 전에 쥘 베른은 그런 이야기를 만들어냈다는 것은 분명 대단하다. 작가들은 항상 시대를 앞서서 생각하는 능력 즉 상상력이 풍부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이렇게 상상했던 것들이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보면 놀랍다. 사실 전에는 그냥 우연히 어찌어찌해서 그렇게 된 것이겠지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어보니 다 그만한 노력을 했음을 알았다. 지리학, 생물학, 물리학, 천문학과 같은 과학 분야의 책을 많이 읽었기에 그러한 이야기가 나왔고 이야기 속에서 그러한 발명품들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즉 쥘 베른은 단순히 상상으로만 이야기를 만들어 낸 것이 아니라 필요하면 연구를 했고 직접 배우기도 했으며 자료를 찾아보기도 했단다. 그래서 이야기가 더 탄탄하게 만들어졌을 것이다.

쥘 베른이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이 책은 주로 작가(쥘 베른)가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때로는 지금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작품에 대한 내용인지 쥘 베른 자신의 이야기인지 헷갈리기도 했다. 그래도 작품을 위주로 설명을 하기 때문에 그의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할 수 있다. 마지막에는 쥘 베른이 지나치게 뭔가를 알려주려한다는 느낌이 들긴 하지만 어린이들에게 희망과 꿈을 주는 이야기라고 생각하면 그럭저럭 괜찮다. 내용도 그리 어렵지 않고 글이 많지도 않아서 인물의 개략적인 활동을 알아보기에는 적당하다. '공상 과학의 창시자'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쥘 베른의 이야기를 읽으니 갑자기 예전에, 내가 어렸을 때 읽었던 책들이 다시 읽고 싶어진다. 아이들도 쥘 베른에 대한 이야기를 읽고 그가 쓴 소설을 읽는다면 훨씬 재미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