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나의 집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선 책을 읽기 전에 작가의 인지도가 먼저 다가왔다. 원래 유명한 소설가가 쓴 글은 모두 관심을 갖고 나오자마자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하니까. 게다가 이런저런 이야기로 사람들에게 오르내리는 자신의 가정사를 기본으로 하는 이야기라니. 그래서 대개는 마지막에 읽는 작가의 말을 처음에 읽었다. 왜냐하면 자전적 소설이라 해도 어디까지가 허구이며 어디까지가 사실인지 선을 그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었다. 작가는 말한다. 이건 어디까지나 소설이라고. 그런데 왜 읽는 내내 작가의 성격이 이랬구나, 그래서 힘들게 살았구나라며 소설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했는지 모르겠다.

고등학생 딸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가족 이야기. 그러나 위녕은 처음부터 가족이 아니었다. 과연 여기서 말하는 가족이란 무엇일까. 적어도 아이들끼리는 성이 같아야 하고 처음부터 함께 살아야 하는 것? 그런 기준으로 보자면 위녕은 가족의 범주에 낄 수가 없다. 부모가 이혼한 후로 줄곧 아빠와 함께 살았으니까. 게다가 동생들과 성도 모두 다르지 않던가. 그러나 엄마의 자리가 그 모든 것을 메워 준다. 만약 위녕의 엄마가 다른 보통의 엄마들처럼 자식을 위해 희생하고 모든 판단의 기준을 자식으로 하는 사람이라면 어땠을까 생각해 본다. 하긴 그랬다면 이혼을 세 번이나 하지도 않았겠지. 스스로가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치열하게 자신과 싸우는 모습이 애처롭기까지 하다. 그러나 남들이 어떻게 보든 본인은 행복해 했다니 그것이 어디인가.

많은 엄마들은 딸과의 관계설정을 위녕과 위녕의 엄마처럼 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그게 말처럼 쉽지는 않다. 친구처럼 지내기도 하고 자매처럼 지내고 싶어지다가도 결정적인 순간에는 결국 '모녀'가 되고 만다. 내가 조금 더 이끌어줘야 하고 더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나도 모르게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위녕의 엄마는 참 솔직하고 영혼이 맑은 사람인가 보다. 여기서 자꾸 작가의 성격이 이렇구나라고 생각되는데 정말 그렇게 동일시해도 되는지 헷갈린다.

처음에 작가의 개인사를 알았을 때 그래도 유명한 작가니까 보통 사람들보다 어려움이 덜 하지 않을까 생각했었다. 그런데 꼭 그렇지만도 않은가 보다.(또 현실과 소설을 구분 못한다.) 오히려 유명하기 때문에 감추고 싶은 게 있어도 감출 수가 없어서 더 힘들 수도 있고 행동에 제약이 있을 수도 있겠다. 어쩌면 그래서 아이들이 감당해야 할 몫이 더 커졌을 수도 있겠지.

가족.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그런 가족이 아니라 성이 모두 다른 네 명이 한 가족을 이루고 살지만 그들은 결코 다른 가족과 다른 것이 하나도 없다. 모두 서로를 사랑하고 있고 이해하고 있으니까. 다만 주위의 곱지 않은 시선만이 한 가족으로 보지 않으려 할 뿐이다.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가족의 의미를 묻는다고 하지만 아직 우리 사회에서는 받아들이기에 요원한 문제인 것 같다. 그래도 이렇게 꿋꿋하게 현재를 살아가는 작가가 있지 않은가. 딱히 커다란 사건이 있는 것도 아니고 큰 문제거리를 던져주는 것도 아니지만 평범하게 보아주지 않는 그들의 평범한 일상이 잔잔하게 펼쳐지는 내내 마음이 따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