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앨리슨 미워하기 ㅣ 좋은책어린이문고 9
로빈 클레인 글, 백지원 그림, 신혜경 옮김 / 좋은책어린이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만약 내 주변에 에리카 같은 친구가 있다면 어땠을까. 아마 굉장히 얄밉지 않았을까. 흔히 '공부 잘 하는 아이들'하면 그 무리에서 한 발짝 뒤로 물러서서 팔짱을 끼고 고개를 삐딱하게 꼬고 입꼬리를 살짝 치켜 올리고 바라보는 모습이 연상된다. 그런 인상이 예나 지금이나 별반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그나마 요즘은 아이들이 모두 영악해서 그런 행동을 하면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적어도 겉으로는 그러지 않는다. 그런데 문득 생각해 보니 혹시 나도 그러지 않았나 잠시 되돌아보게 된다. 현재의 내 모습이 주변에 녹아들 생각을 하지 않고 멀찌감치 떨어져 있는 모습이 연상되기 때문이다.
어쨌든 에리카는 현재의 상황을 굉장히 비관적으로 보는, 그야말로 조숙한 아이다. 워낙 독보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모든 것을 자기 위주로만 생각하고 자기가 최고인 줄 안다. 그러면서 자신을 둘러싼 환경이 굉장히 열악하고 주변에는 모두 형편없는 사람들 뿐이라고 치부한다. 그러기에 애초부터 자신과 바링가 이스트에 있는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을 다른 부류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도도하게 잘 나가던 에리카에게 드디어 위기가 닥친다. 바로 완벽한 앨리슨 애슐리가 전학을 오면서다. 설상가상 앨리슨은 자신들과는 차원이 다른 동네에 사는 것이다. 우리로 치자면 일반 아파트에 사는 사람과 타워팰리스에 사는 사람 정도의 차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반 친구들은 아무도 앨리슨이 어디에 사는지 옷을 어떻게 입고 오는지 전혀 신경을 안 쓰는데 유독 에리카만 신경을 곤두세운다. 일종의 열등감 때문이다. 지금까지 자신이 최고였는데 그 자리를 빼앗길까봐 두려운 것도 아니고 이미 전학 온 첫날부터 빼앗겼으니까. 앨리슨은 모든지 완벽하다. 옷 입는 것도 그렇고 이야기를 할 때도 그렇고,공부도 잘 하고 예의도 바르다. 그러니 말썽꾸러기 학생들만 보던 선생님들도 얼마나 앨리슨을 예뻐하겠는가 말이다. 에리카는 속으로는 앨리슨을 동경하고, 앨리슨과 친구하고 싶어도 자존심 때문에 속마음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그러면 그럴수록 앨리슨에게 쌀쌀맞게 대하고 사사건건 안 좋게 보다가 트집을 잡기도 한다.
자신의 속마음을 감추고 앨리슨을 미워할수록 에리카에게 느는 것은 변명(좋게 말해 그렇지 솔직히 말하자면 거짓말이다.)과 자괴감 뿐이다. 어쩜 그렇게 모든 것에서 거짓말이 그렇게 술술 잘도 나올까. 내가 만약 선생님이었다면 엄하게 혼을 내줄 것 같은데 그 학교 선생님들은 이해심도 많다. 계속 그냥 들어주다가 나중에서야 변명을 못 들어주겠으니 그만하라고 하니 말이다.
어른이든 아이들이든 상대방이 지나치게 완벽하게 느껴지면 거부감이 이는 것은 똑같은가 보다. 에리카도 그렇게 앨리슨을 미워하다가(물론 속으로는 안 그랬지만) 나중에 앨리슨도 힘들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마음이 바뀌니까. 마찬가지로 앨리슨도 에리카가 속마음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진작부터 알고 있었으면서도 적극적으로 행동하지 않다가 마지막 결정적인 순간에 가서야 행동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에리카가 마음을 열고 자신의 상황을 인정하게 된 것은 가족간의 사랑을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항상 자신은 부류가 다른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얕잡아 보던 주변 사람들이 사실은 굉장히 마음이 따뜻하고 인간적이라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그렇다고 앨리슨과 비교하면서 깨닫지 않는다. 대부분의 동화책이라면 앨리슨의 엄마가 너무 신경을 안 쓰자 그것을 보고 자신의 가족이 얼마나 다정하고 소중한 것인지를 깨닫는 구조를 갖는데(그러면서 친구에게 동정심이 생기기도 한다.) 이 책은 전혀 그렇지 않다. 대신 앨리슨을 에리카 가정으로 끌어들이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언제 에리카가 말도 안되는 거짓말 하는 버릇을 뉘우칠까 내심 기다렸는데 작가는 끝까지 어린이 편이다. 그런 것은 절대 보여주지 않으니까. 아니 오히려 앨리슨의 입을 통해 독창적이라며 칭찬을 하지 않던가. 그런 문화가 부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