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박사와 떠나는 공룡대탐험
두걸 딕슨 지음, 원지인 옮김 / 파브르북(북공간)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남자 아이들은 '공룡시기'를 거친다. 여기서 말하는 공룡시기란 공룡에 빠지는 시기를 말한다. 우리도 한때는 공룡책을 찾아 헤매기도 하고 공룡 장난감을 보이는 대로 사들이기도 했다. 큰 것부터 아주 작은 것까지. 처음에는 발음하기도 힘들었던 공룡 이름이 이제 기본적인 것들은 익숙해졌다. 전에는 공룡에 대한 책들이 많지 않았었다. 있다 해도 내용이 부실하거나 그림이 영 아닌 것들이었다. 그나마 수소문해서 괜찮다고 하는 것을 사 줬는데 그것도 내용면에서는 약간 2%가 부족했다.

그런데 이 책을 보니 내용에 상당히 깊이가 있다. 게다가 내가 모르는 공룡이 이렇게 많았나 싶을 정도로 광범위한 공룡의 세계를 보여준다. 그래서 아이에게 보여줬더니 약간 시큰둥해 한다. 그러면서 하는 말이 이제는 공룡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단다. 이래서 '적기'(right time)라는 말이 있나보다. 하지만 책이라는 게 어디 가는 것도 아니고 관심이라는 것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늘어나기도 하는 것이니 그다지 걱정하지는 않는다. 언젠가는 보겠지.

모두 사라져 버렸기에 더 궁금한 공룡. 게다가 아직도 밝혀진 것보다 밝혀지지 않은 것이 훨씬 많기에 사람들이 신기해 하고 경이롭게 생각하는 것일 게다. 공룡이 왜 지구상에서 사라졌는지도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잖은가. 게다가 공룡들에게 이름을 붙여 주고 모양을 복원했다지만 그 마저도 정확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예를 들면 스테고사우르스의 경우 골판이 한 줄로 늘어서 있을 것이라는 이론과 두 줄로 서로 교차되며 늘어서 있을 거라는 이론, 골판이 누워있을 것이라는 이론 등 아직도 명확하지 않다고 한다. 지금까지 아이들 장난감이나 그림에서 골판이 두 줄로 교차되며 나 있기에 당연하게 생각했는데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을 가지고 만들었던 것이다. 

지금은 아무렇지도 않게 1,2억 년 전에 공룡이 살았다는 둥 2억 년간 공룡이 지구를 지배했다는 등의 이야기를 하지만 1억 년이란 시간은 엄청난 시간이다. 인류가 나타난 것이 5백만 년 전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공룡이 지구에서 생활한 기간은 대단한 것이다. 아무튼 공룡에 대한 호기심은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발견이 될 때마다 점점 더 늘어나는 것 같다. 이 책에서는 단순히 공룡의 종류에 대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최근에 발견된 것을 포함해서 새로운 이론들에 대한 이야기도 하고 있어서 새롭다. 흔히 알고 있듯이 공룡이 유성우 때문에 사라졌다고 하지만 요즘 어떤 학자들은 공룡이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라 단순히 날아다니는 특징들을 가진 생명체로 진화했다고 본단다. 과연 어떻게 된 것일까. 공룡이 사라진 원인이 확실히 밝혀지는 날이 오긴 할까. 알면 알수록 더 궁금해 지는 것이 바로 공룡에 대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