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상식 바로잡기 - 한국사 상식 44가지의 오류, 그 원인을 파헤친다!
박은봉 지음 / 책과함께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 다니면서 역사를 배울 때 동기를 갖지 않고 오로지 시험과목으로만 배웠었나 보다. 이렇게 재미있는 역사를 왜 힘들어 했는지 모르겠으니 말이다. 사실 어른이 되고 나서도 특별히 역사에 흥미를 갖지 않았는데 아이가 초등 고학년이 되면서 함께 역사 나들이를 다니게 되면서 해설사에게 여러가지 설명도 듣고 책도 찾아보고 하다가 급기야 모임에서 역사를 주제로 공부하다 보니 이젠 이보다 재미있는 분야도 없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가 되었다. 아직 역사적 지식은 초보 수준이지만...

내가 읽은 책은 한계가 있어서 때로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새로운 사실을 알기도 했다. 그러다가 유적지에서 해설을 들으면서 그동안 알고 있었던 사실과 다른 내용을 듣고는 적잖이 놀란 기억이 난다. 그리고나서 다른 책도 보고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그러한 것이 한 두 가지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역사라는 것은 시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고 더 많은 연구자료가 보충되어 바뀌게 되는 부분 또한 있으니 어쩌면 그게 당연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렇게 찾아보는 사람에게만 진실이 드러난다고 생각하니 참 많이 아쉽다. 만약 나도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모르고 지나갈 것들이 얼마나 많았겠느냐 말이다.

역사란 공부하면 할수록 재미도 있지만 어려운 분야라는 생각이 든다. 뭐, 지금 내가 책 조금 읽은 것을 가지고 역사 공부했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포석정에 대한 이야기는 요즘은 그래도 여러 책에서 제대로 다루고 있는 듯하다. 작년 여름에 그곳 해설사에게 들었던 내용도 이 책에 있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김정호가 지도를 만들 때 실제로 백두산을 여러 번 올라갔고 옥사했다는 말은 사실과 다르다는 것도 어렴풋이 알고 있었다. 그런데 사실 함흥차사에 대한 이야기나 원효대사에 대한 이야기는 생경했다. 물론 처음부터 다루는 고조선의 '고'자에 대한 어원에 대해서도 모르고 있었긴 하다. 아니, 몰랐다기 보다 관심도 두지 않았다고나 할까.

한 가지 이야기를 읽을 때마다 기회가 되면 아이들이나 남편에게 이야기해 줬다. 그런데 아이가 하는 말이 이런 책은 선생님이 먼저 읽어봐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한다. 이럴 땐 참 난감하다. 그렇게 교육의 틀이 그렇게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알기에. 게다가 책 한 권으로 인해 지금까지 기정사실화 되었던 이야기가 변화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을 너무도 잘 알기에 하는 말이다. 가끔 저자도 이야기한다. 설혹 한 인물에 얽힌 이야기가 과장되거나 미화되었다 해도 그 사람의 업적이 퇴색되는 것은 아니라고. 아마 문익점이나 우장춘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그랬던 것으로 기억한다. 비록 문익점이 위험을 무릅쓰고 붓두껍에 목화씨를 감춰 온 것이 아니라 그냥 쉽게 주머니에 넣어왔다고 해서 그의 업적이 빛바래는 것은 아니다. 본국으로 돌아오면 귀양을 갈 것이 뻔한 상황에서도 목화씨를 가지고 와서 우리의 면화산업을 개척한 것은 문익점이었다. 다른 사람들은 그런 생각을 하지 않았잖은가. 

함흥차사를 이성계가 모두 죽인 것이 아니라고 해서, 고조선이 기원전 2333년에 건국된 것이 아니라고 해서 최영 장군이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고 한 것이 아니라 그의 아버지가 한 말이라고 해서 크게 달라질 것은 없다. 하지만 간혹 절대 잘못된 상식 그대로 있어서는 안 되지 않을까라는 것들도 있었다. 식민사관으로 얼룩진 것도 있었고 후에 승리자의 입장에서 심하게 왜곡된 것도 있었다. 이런 것은 분명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차피 역사란 고정된 사실을 가지고 바라보는 방식이 변하는 것이라고는 하나 이 책을 읽으며 정말 '역사는 흐른다'라는 말을 실감했다. 그나저나 기존에 나왔던 역사 관련 책들(특히 어린이책)을 보면 이건 잘못된 것인데라거나 지금은 이렇게 해석하지 않는데라는 생각이 먼저 떠오르니 큰일이다. 자꾸 오류만 보일까 봐. 그래도 이런 책을 읽은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간혹 작가의 주관적인 견해로 마무리 되는 것도 있는 듯 보이지만 거기에조차 설득당하는 느낌이다. 아직도 이렇게 밝혀야 할 것이 많다니, 과거는 과거로써 끝이 아니라 현재를 거쳐 미래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기본적인 논리가 새삼 실감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