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비 딕 푸른숲 징검다리 클래식 15
허먼 멜빌 지음, 김정우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책이란 어떤 것일까를 자주 고민한다. 그러면서 드는 생각은 내가 어렸을 때는(내지는 청소년기에는) 지금처럼 책이 다양하지 않고 접할 기회도 없어서 그저 읽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두었었다라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워낙 많은 출판사들이 좋은책을 앞다투어 내기 때문에 쫓아가기도 벅차다. 그래서 나름으로 기준을 세우는 부모들이 많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다이제스트 판이 아닌 완역으로 된 책을 읽히고 싶어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한편으론 난해한 책들을 꼭 완역본으로 읽히며 고문을 해야할까라는 생각도 든다. 내가 청소년기에 읽었던 책들이 과연 완역이었을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지금까지 감동하고 딱히 설명할 수 없는 어떤 느낌이 남아있지 않던가. 그래서 약간 수정을 했다. 이렇게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나온 책을 환영하기로.

사실 내가 청소년기에 이 책을 안 읽었기에 무척 궁금했었다. 지난번에 어떤 작가가 강연회에서 아이들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하기에 마음 속으로 찜하고 있었던 책이다. 아직까지 알려진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다는 고래. 동물 중 가장 크고 포유류이면서도 물 속에서 사는 신기한 고래. 지금이야 함부로 고래 잡는 것을 금지하고 있지만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고래잡이는 흔했었다. 이 책은 화자인 이스마엘이 고래잡이를 나가겠다고 결심하고 결국 고래잡이 배를 타고 항해 하면서 겪었던 일을 술회하는 식으로 되어 있다.

이 소설은 허먼 멜빌이 살아있을 때는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가 탄생 100주년, 사후 30년이 지나서야 빛을 보게 되었단다. 사후에 빛을 보는 예술가가 어디 멜빌 뿐이겠냐만은 그래도 안타깝다. 자신의 소설이, 당시의 보편성을 타파하고 새로운 시도를 했던 책이 인정받는 모습을 보았다면 그에 힘을 얻어 더 좋은 글을 쓸 수도 있지 않았을까. 이런 생각이야 역사에 '만약'이라는 가정을 하는 것처럼 부질없는 짓이지만 말이다.

다 읽고 나서 생각했다. 분명 뭔가 다르긴 한데 딱히 무엇이 다른지 모르는 그런 느낌이 들어서. 그러다 해설을 보면서 알아챘다. 이건 누구를 중심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있을 수 있고 그만큼 다양한 감정을 느낄 수 있겠구나라는 것을. 확실한 주인공이 있어서 그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형식이 아닌, 포커스를 어디에 맞추는가에 따라 주인공이 달라진다고도 할 수 있는 특이한 형식이다. 그러나 읽으며 열심히 누구를 중심으로, 즉 누구에게 나를 대입하며 읽을까 열심히 궁리하지만 결국에는 덧없는 짓이 되고 만다. 왜? 이스마엘과 모비 딕을 제외하고 모두 사라지니까. 그제서야 허탈감이 밀려온다. 일등항해사 스타벅에게 동화되어 읽기도 하고 때론 비록 복수심에 눈이 멀어 정신이상자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일종의 측은지심 때문에 멋지다(실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거나 간혹 보이는 내면과의 싸움을 보여줌으로써 그런 생각이 들었다.)고까지 생각하게 되는 아하브에 동화되기도 하지만 모두 부질없는 짓이 되고 만다. 그리고 그제서야 독자는 서서히 현실로 돌아온다. 이런 것이 바로 고전이라는 것이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