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야, 가문의 수치 중학년을 위한 한뼘도서관 9
아르노 카트린 지음, 한지선 그림, 김주경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제목이 무척 재미있다. 가문의 영광이 아니라 수치라니. 게다가 표지그림은 또 얼마나 웃기던지. 처음에 그림만 보고는 주인공이 여자라고 생각했다. 레이스가 달리고 퍼프가 달린 옷은 여자가 입는 것이라는 단순한 생각 때문이었다. 외국 동화에서 왕자들이 이런 옷을 입는다는 걸 깜빡했다. 어쨌든 주인공 마르탱은 이제 막 열한 살 생일이 지났으니 우리 나이로 하면 열두 살, 딸과 똑같은 나이다. 그래서 읽는 내내 아이들의 행동을 딸 친구들과 견주어 가며 읽었다. 

도대체 뭣 때문에 스스로를 가문의 수치라고 생각하는 걸까. 알고 봤더니 열한 살 씩이나 되었는데도 사랑하는 사람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란다. 보통 아이들의 사랑 이야기를 다룰 때는 뭔가 은근하게 감추기도 하고 조심스럽게 다가가기도 하는데 이건 뭐랄까, 굉장히 통통 튀는 느낌이라고나 할까. 경쾌하면서도 진지할 만한 것은 다 들어 있다. 게다가 마르탱은 이 시기 아이들이 그렇듯 어떤 사실을 자신의 기준으로 판단해 버린다. 예를 들면 삼촌이 다른 나라로 떠난 것은 분명 다른 이유가 있을 텐데도 마르탱이 보기에는 결혼을 못해서 아마존 같은 곳으로 쫓겨 난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주위 식구들에게 자초지종을 물어보지도 않고 혼자 자의적으로 판단해서 별별 걱정을 다 한다.

그래도 스스로의 마음을 다스리려 노력하고 친구의 마음을 배려하는 모습이 예쁘다. 우연히 가장 친한 친구가 같은 여자 친구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우정을 지키기 위해 사랑을 포기하니 말이다. 초등 저학년들이 누가 누구를 좋아한다는 이야기는 사랑이라는 말을 붙이기도 뭣한 반면 마르탱의 사랑은 풋사랑이라고 불러도 좋을 만한 사랑이다. 그렇다고 사춘기를 겪는 아이들의 어른들을 흉내낸 사랑도 아닌 그야말로 풋풋하고 싱그러운, 이성에 대한 사랑이라기 보다 '인간'에 대한 사랑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것 같은 그런 사랑이다. 그래서 마르탱이 처음 찾아 온 사랑을 포기하는 결말임에도 책을 덮고 나서 훈훈함이 느껴졌는지도 모른다. 확실히 사춘기 아이들이 이성으로서 사랑하고 고민하는 여타의 이야기와는 다른 느낌이었다. 그래서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