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순아 노올자 신나는 책읽기 14
이상권 지음, 정지윤 그림 / 창비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사실 제목을 보고 옛 아이들 이야기를 다룬 내용이라고 생각했다. 금순이라는, 요즘 같으면 절대 지어주지 않을 것 같은 이름과 '놀자'를 길게 발음하면서 담 너머 친구를 부르는 모습이 연상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용은 전혀 의외의 상황을 다룬다.

치매는 모든 사람을 불안에 떨게 하는 병이다. 호전되는 경우가 거의 없이 점점 심해지기만 하고 가족 모두를 힘들게 하는 긴 병에 효자 없다는 말이 딱 들어맞는 그런 병이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가족을 비롯해서 본인이 그런 병에 걸리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을 갖고 있을 것이다. 이제는 이것이 가족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문제라고도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건 말 뿐이고 아직까지도 모든 것을 가족이 짊어져야 하는 문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렇게 힘든 일을 감내해야 하는 연우 가족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이 책은, 그러나 시종일관 웃음을 머금게 한다. 분명 할머니 때문에 온 가족이 힘들고 까딱 하다가는 가족 간 문제로까지도 번질 수 있는 일이 벌어지건만 독자는 그 마저도 경쾌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왜 그럴까. 분명 다른 책에서도 치매를 다루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거기서는 무겁고 답답한 느낌이 떠나질 않았던 것에 비하면 뭔가 이상하다. 그래서 곰곰 생각해 보았다. 아마도 연우가 바라보는 할머니 모습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그런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조심스럽게 해본다. 만약 엄마나 아빠의 모습을 많이 비췄더라면-아무리 마음 좋은 사람이라도 치매 환자를 돌보는 것은 힘든 일이기에-좋은 모습 보다는 안 좋은 모습이 많이 잡혔을 것이다. 그러면 독자도 결코 마음 편하게 읽지는 못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독자는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을 등장인물에 대입하며 읽으니까.

치매로 인해 어린 아이가 되어 온 가족에게 놀아달라고 시도 때도 없이 졸라대는 할머니를 위해 연우 가족은 서로 돌아가며 할머니와 놀아준다. 그러나 다른 가족은 모두 어쩔 수 없이 억지로 시간만 때우려 들지만 연우는 진심으로 할머니와 놀아준다. 자신이 어렸을 때 놀아달라고 하면 아무도 놀아주지 않았지만 할머니는 기꺼이 놀아주었기 때문이란다. 초등 저학년이 그런 깊은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잠시 의문이 들긴 하지만 또 아예 그럴 가능성이 없는 것도 아닐 것이다. 어쨌든 연우는 그런 할머니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조금씩 들려준다. 사실 처음엔 어떻게 그런 이야기를 지어서 해 줄 수가 있을까, 작가가 너무 앞서간 것은 아닐까 의심했지만 알고 보니 할머니가 연우에게 해 줬던 이야기를 이제는 연우가 할머니에게 다시 들려주는 것이었다. 할머니에게 금순이라며 친구처럼 대하는 모습이 천진스러우면서도 어쩐지 짠하다.

대부분의 치매를 다루는 책들이 마지막에는 결국 노인을 받아들이고 앞으로 잘 해 나갈 거라는 암시를 주며 끝낸다. 그러면 오죽 좋겠냐만... 그런 면에서 보자면 이 책도 해피엔딩이라 할 수 있겠다. 다만 할머니가 이제 가족들을 그만 힘들게 할 것이라는 말이 뭔가를 암시할 뿐이다. 그 와중에도 할머니의 마지막 말에 웃음이 절로 나온다. 지금까지 혹 할머니가 잘못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과 안타까움을 한번에 날려버리는 대화였다. 어쩌면 그래서 이 책이 더욱 경쾌하게 느껴지는지도 모르겠다. 비록 힘들고 어려운 주제를 다루고 있어도 작가는 재치를 결코 잊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뭔가 가슴에 싸한 아픔을 남기는데도 소홀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