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재천에 너구리가 살아요 아이세움 자연학교 3
김순한 글, 김명길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어느 때인가부터 주변의 하천이 변하기 시작했다. 그저 시멘트 둑이 있고 지저분한 물이 흐르는 그저 그런 하천에서 산책을 할 수도 있고 야생화도 피어 있는 물과 좀더 가까이 있을 수 있는 하천으로 바뀌었다. 그 중에서도 서울에 있는 하천들은 굉장히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

양재천 주변을 개발하면서 곧게 만들었던 것을 원래의 하천으로 되살리면서 지금의 모습으로 되었다고 한다. 원래 물길을 바꾸면 언젠가는 처음으로 되돌아간다는 말이 있다. 그건 자연이란 인간이 인위적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를 품고 있는 것이리라. 그런 면에서 보자면 양재천을 자연형 하천으로 바꾼 것은 대단히 가치 있는 일일 것이다. 처음에야 양재천을 되살리기 위해 콘크리트를 걷어 내고 물억새나 갈대, 버드나무 등을 인위적으로 심었다지만 자연이란 위대해서 조금만 있으면 스스로 알아서 일어선다. 그래서 그 후로는 더 많은 식물들이 찾아들었을 테고 새도 날아왔을 것이고 갖가지 곤충이나 동물들도 찾아왔던 것이다. 거기다가 너구리까지.

환삼덩굴은 네발나비가 알을 낳는다는데 쥐방울덩굴은 꼬리명주나비가 알을 낳는단다. 이제 양재천에는 쥐방울덩굴도 있다니 머지않아 꼬리명주나비도 찾아오겠지. 이렇듯 여기서는 양재천에서 만날 수 있는 곤충과 식물 뿐만 아니라 물고기와 새도 이야기한다. 양재천을 따라 가다보면 학여울에 다다른다. 여자 아이 둘이 강아지를 데리고 산책을 가나보다. 그런데 명확한 기준이 없어서 좀 헷갈렸다. 계절별로 양재천을 따라가는 것도 아니고 주제별로 따라가는 것도 아니어서 어느 순간 봄에 볼 수 있는 모습이었다가 어느 순간 다시 여름이었다가 가을이고 때로는 한 곳에 모두 합쳐 있기도 하다. 체계적인 구성이 되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여자 아이 한 명이 버들가지를 들고 있는 그림과 꽃을 자전거 바구니에 담고 달리는 그림이 나오는데 왜 그렇게 그렸을까 의아하다. 나뭇가지는 어디서 난 것이며 꽃은 또 어디서 난 것일까. 설마 꺾고 딴 것은 아니겠지. 어린이책이란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그림 하나라도 신경쓰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건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