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깨지기 쉬운 깨지지 않을 - 바람단편집 3 ㅣ 반올림 11
김혜진 외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07년 10월
평점 :
보통 머리말부터 찬찬히 읽는 버릇,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그러할 것이다. 책을 펼쳐들고 머리말을 읽는데 어쩌면 이렇게 글귀 하나하나가 마음에 와 닿는지 모르겠다. 거의 작품이라고 해도 되겠다. 머리말에서도 이야기하듯이 요즘 청소년 책들이 엄청 쏟아져 나오고 있다. 사실 내가 요즘 청소년 책을 많이 읽는 이유가 딸이 청소년기에 접어들랑 말랑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가만 생각해 보니 그게 아닐 수도 있겠다. 바로 청소년 책이 많이 나오기 때문인 것이다.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외국 작품들이나 있을 뿐 우리 작가의 책은 찾아보기 힘들었는데 요즘은 거의 모든 출판사들이 청소년 책에 달려들고 있다. 그러니 접할 기회가 그만큼 넓어진 것이다. 이유야 어쨌든 읽을 거리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청소년들에게(청소년책 마니아인 나에게도) 좋은 소식임에는 틀림없다.
내가 요즘 청소년 책을 엄청 읽고 있다. 그 이유는... 점점 자라는 딸을 이해하기 위해서라고 하는데 책을 읽을 때 느끼는 감정과 내가 딸을 대하는 모습을 보면 결코 그 목적이 아닌 것 같다. 외려 요즘 청소년을 이해해서 내 딸을 그런 환경으로부터 지키려고 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마저 든다. 딸은 자신을 보호라는 이름으로 가두려는 부모에게서 조금이라도 다른 이들의 삶을 엿보고자 줄기차게 읽고, 그 부모인 나는 다른 이의 삶을 엿보고 딸을 '보호'하려고 읽는다. 같은 책을 가지고 읽는 방식이 이렇게 다르다니. 그야말로 동상이몽인 셈이다.
총 일곱 편의 이야기를 읽으며 가끔은 이거 청소년 소설 맞아?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나 행동이 낯선 이야기도 있었고 혹시 딸도 이런 생각을 하는 건 아닐까 지레 뜨끔했던 이야기도 있었다. 정말 청소년 소설이란 어때야 하는 걸까라는 물음이 새삼 뇌리에서 울린다. '어른인 우리가 청소년에게 이야기할 때는 어른에게 이야기할 때와는 달리 목소리를 가다듬고 말을 고르느라 애쓴다'는 출판사 대표의 말처럼 나 또한 무의식 중에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나 보다. 청소년에게 읽혀야 하는 이야기는 착해야 하고 외설스럽지 말아야 하고(착한 것보다 더 우위를 두는 것이 이 부분이다.) 이왕이면 긍정적이기를 바란다. 실제 삶이 그렇지 않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말이다.그래도 여기 있는 이야기들은 거의 대부분 보통의 아이들을 그리고 있어 좀 마음이 편했다. 지금까지의 청소년 책들은 안타깝고 아릿한 이야기들을 많이 읽었던 터라 그랬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