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눈 팔기 대장, 지우 돌개바람 12
백승연 지음, 양경희 그림 / 바람의아이들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선하다. 희곡이라... 사실 (부끄러운 얘기지만)어른책이든 어린이책이든 희곡은 처음 읽었다. 집어들었다가도 희곡이어서 내려놓은 적이 몇 번 있었던 것을 감안한다면 분명 이건 장족의 발전을 한 셈이다. 물론 그 이유는 어린이책이기 때문에 비교적 부담이 적다는 것도 포함되긴 한다. 그래도 어쨌든 처음 만난 희곡이라는 점에 큰 의미를 두고 싶다.

모임에서 연극을 할 때도 대본작업에는 관여를 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연극이라는 것을 함께 해 본 경험이 있기에 이 책을 읽으면서 낯설지는 않았다. 마치 어린이 프로그램에서 하는 연극이 생각나기도 했고 모임에서 이번 행사 때도 어김없이 했던 연극이 오버랩되기도 했다.

여기에는 많은 이야기들이 함께 나온다. 도깨비, 혹부리 영감, 달나라 토끼 등 흔히 알고 있는 이야기들이 함께 버무려졌다. 그야말로 한눈팔기 대장인 지우가 학교를 가다가 호기심에 이끌려 이상한 집에 들어가는 바람에 벌어지는 일련의 해프닝들이 주된 이야기지만 끝에 가서는 나름대로 철학적인 이야기도 곁들인다. 항상 한눈팔지 말고 다른 데 신경쓰지도 말고 앞만 보고 가기를 신신당부하는 엄마. 그러나 지우는 당연히 엄마의 말에 말로만 '네'를 외친다. 

그러나... 지우가 어찌어찌하다가 빗자루 도깨비와 몸이 바뀌면서 자신보다 더 한눈팔기 대장인 상대를 바라보며 무언가를 느낀다. 그렇다. 아이들은 자신의 모습은 잘 몰라도 다른 사람의 모습은 잘 안다. 그래서 누구는 이렇고 누구는 저렇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면 가만히 듣고 있던 내가 결정적인 한 마디를 하지. '너도 그래!' 라고. 하지만 아이들은 결코 그걸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그러고보면 지우는 참 현명하고 자신을 되돌아 볼줄 아는 친구인가 보다. 할아버지와 큰 도깨비가 '너도 그래!'라고 하는 말을 인정하는 걸 보면...

무엇보다 결말 부분이 인상적이다. 빗자루 도깨비와 지우가 뒤바뀌며 안심하리라 생각했는데(대부분 어린이 연극에서 그렇게 하듯이) 지우가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판단하는 기회를 줌으로써 잔소리보다 훨씬 효과가 좋은 것을 택했으니 말이다. 그럼 이제부터는 한눈을 팔지 않을까. 글쎄. 가끔은 그렇게 엉뚱한 길로 가기도 해야 책에는 없는, 학교에서는 배울 수 없는 지혜를 배우기도 할 텐데... 하긴 지우의 호기심 많은 그 성격으로 보아 곧장 학교로 가는 날이 마냥 계속되진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