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
김진기 지음, 김재홍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를 보더니 둘째가 꼭 사진 같단다. 그러더니 유심히 살펴본다. 사진인지 그림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물론 결론은 '그림'이다. 워낙 김재홍 작가의 그림을 좋아하기에 어느 순간부터 모으기 시작했다. 그림책에 있는 그림이라지만 단순히 글을 보조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글에서 미처 말하지 않았던 것을 그림이 이야기하고 있어서 더욱 유심히 보게 되는 것이 그 작가의 책이다. 이번에는 어떤 그림이 이야기하고 있을까 궁금하다.

책을 펼치면 무릎베개를 벤 아이에게 들려 주듯 하란다. 그래서 아예 무릎베개를 하고 읽어 줬다. 흑백의 그림이 나오고 멀리 엄마와 딸이 창가에 앉아 있는 모습이 보인다. 나무에 꽃이 핀 것으로 보아 봄인가보다. 봄비라... 다음 장에서 아이가 창가에 귀를 대고 있는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정말 내가 빗소리를 듣고 있는 듯하다. 음... 아이가 빗소리를 좋아하나 보구나. 비 오는 날의 한가로운  풍경이로군. 그리고 두어 장을 넘기면 가슴이 아파온다. 물론 시각장애인을 본다고 해서 무조건 마음이 아플 필요는 없다. 하지만 아이가 속상할 때가 있다고 하니 어찌 마음이 아프지 않겠는가. 

대부분의 그림이 검은색을 위주로 하고 있고 가끔 색채가 들어간다. 그것도 특정한 사물만. 엄마와 딸의 소소한 일상을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어서 정확히 어떤 이야기라고 꼭 집어서 말할 수 없다. 그저 딸과 엄마가 민들레를 보기도 하고 네잎 클로버를 찾기도 하는 평범한 일상이니까. 엄마는 시력을 잃기 전에 보았던 파란 하늘만을 기억한다. 그러나 아이의 꿈 속에서는 엄마가 노을진 보라색 하늘도 본다. 그래서 행복하다. 아이가 엄마의 무릎베개에서 눈을 떴을 때 본 것은 무지개다. 그 무지개가 아이의 손에 닿고 가슴 속을 들어온다. 바로 엄마의 무지개. 그 장면에서 대개의 엄마라면 책 속의 엄마처럼 그런 무지개를 만들지 않을까. 나도 모르게 뭉클해지며 그것을 들키지 않으려 눈을 깜빡였다.

둘째가 처음에 책 속의 엄마가 시각 장애인인 것을 알고는 주인공 아이가 측은했나보다. 아무 말 없이 듣고 있다가 끝나고 나니 벌떡 일어난다. 그러면서 그냥 그렇다고 평을 한다. 그럼 그렇지. 이제 겨우 2학년짜리, 그것도 남자 아이가 감동을 받아봤자 얼마나 받겠는가. 아무래도 뒷부분에서는 이야기가 꽤 추상적이기 때문에 이해하는데 아직은 무리였을 것이다. 오히려 어른들이 더 감동받고 가슴 찡해지지 않을까. 엄마의 무지개 맞은편에 있는 하얀 해는 언제나 아이를 비춰줄 것이다. 비록 아이들이 이해하기는 다소 어렵다지만 그래도 가슴으로 무언가를 느끼기는 할 것이다. 또한 멋진 그림을 감상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