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명의 괴짜 기자들 중학년을 위한 한뼘도서관 7
필라르 로사노 카르바요 글, 배상희 옮김, 김중석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책을 고를 때 작가의 인지도에 영향을 받기도 하고 무슨무슨 상을 받았다는 말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물론 상을 받았다고 다 재미있거나 아이들이 좋아한다는 보장은 없지만 그래도 그런 문구에 끌리는 것이 사실이다. 이 책도 처음에는 표지 그림이 좀 산만해서, 아니 솔직히 말하자면 너무 유치해서 안 읽을까 하다가 한쪽 구석에 씌어 있는 '수상'이라는 글자에 힘입어 읽기 시작했다. 게다가 많이 접해보지 못한 스페인 작가의 책이라는 것도 호기심을 자극했다.

한창 논술과 NIE라는 것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방학만 되면 신문을 만드는 것이 하나의 관례처럼 되었다. 우리 아이들과 만들지는 않지만 다른 아이들과 만들기는 한다. 하지만 일일이 설명해 주고 알려주고 심지어는 지시하면서 만드는 신문으로 아이들의 논리력이 얼마나 향상될까가 항상 걱정이다. 그런 면에서보자면 이 책의 주인공을 비롯한 등장인물들은 산교육을 하는 셈이다. 직접 신문을 만들겠다고 결정한 순간부터 창간호가 나오기까지 숱한 고민을 하고 좌절도 하며 특종까지 얻어내니 말이다. 그 뿐만 아니라 진짜 기자들이 겪을 만한 일은 모두 겪는다. 권력집단의 회유와 협박, 정보 제공자 보호, 백지공포증까지!

그러면서도 이 책이 단순히 무언가를 알려주려는 인상을 받지 않는 것은 문장 안에 숨겨진 유머 때문일 것이다. 각자의 인물들이 하는 말들을 가만히 읽고 있으면 서로 자신의 말을 상대방에게 이해시키려고 애쓰지 않으면서도 의견이 엇나가지 않는다는 걸 발견하게 된다. 일일이 설명하고 해명하려 애쓰는 우리의 작품과는 많이 구별된다.

주인공이자 편집장인 알레한드로의 경우 그야말로 '있는 집 자식'이지만 그것을 감추기 위해 과장하지 않는다. 본인도 그것을 알고 있으면서 조금 조심할 뿐이다. 그러면서 다른 때 같으면 전혀 관심도 없었을 친구들을 통해 자신의 환경을 돌아보고 심지어 다른 사람들의 환경을 이해하게 된다. 그러면서 아웃사이더였던 친구들과 일종의 끈끈한 우정을 만들어 나간다.(어쩌면 이것이 가장 가슴 뭉클하고 뿌듯하게 다가왔는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다른 친구들이 그들을 시기하거나 모함하지 않는다. 우리 작품에서는 대개 있는 집 자식이면 도도하고 거만하다가 나중에 착해진다는 다소 뻔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는데 반해 이 책은 처음부터 자신이 남들에게 어떻게 보여지는지도 알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아이들에게 거부감을 주지도 않는다. 아니, 애초부터 남들이 싫어하는 그런 행동을 하지 않는다. 이런 게 바로 문화적 차이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재미있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