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끝나기 전 꼭 해야 할 12가지 풀빛 청소년 문학 4
비외른 소르틀란 지음, 김라합 옮김 / 풀빛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딸을 키우는 엄마로서 청소년 기의 아이들이 과연 무슨 고민을 하고 무엇에 관심이 많을까 궁금한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내가 청소년기에는 어땠더라? 자세한 건 기억이 안 나지만 그다지 주위에 관심을 갖지 않았던 것 같고 지나치게 순진했던 것 같기도 하고 아니면 별 관심사 없이 밍밍하게 보냈던 것 같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제인 에어>라던가 <폭풍의 언덕>을 읽으며 가슴 설렜던 것 같기도 하다. 딸도 조금 있으면 이성에게 관심을 갖고 남자 친구를 사귀고 그럴까? 대세가 그렇다고는 하지만 왠지 아직 마음의 준비가 되지 않았다.

이 책의 주인공이 열네 살이다. 그 나라 나이로 열네 살인지 아니면 번역할 때 우리 나이로 바꿔서 번역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한창 사춘기를 겪고 있으면서 이성에 관심을 갖고 행동으로 옮기는 나이라는 것은 똑같을 것이다. 그러기에 엄마와 아빠가 이혼할 것이라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듣고도 남자 친구 사귀는 것에 모든 신경을 쏟는 것이겠지. 다만 본인도 그것이 참 바보 같고 한심한 짓이라는 걸 안다는 것이 그나마 다행이다. 아니 어쩌면 그렇게 다른 것에 신경을 씀으로써 현실을 견뎌나갈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아이들에게 있어 부모의 이혼 소식이 가장 큰 충격이라고 얘기했으니까. 

처음에는 무슨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 것일까 갈피를 잡지 못했다. 뜬금없이 세상의 종말이 온다면 해 보고 싶은 것을 정리하니 말이다. 그러나 다 읽고 나서 가만히 생각해 보니 어쩌면 엄마와 아빠가 뭔가 분위기가 심상치 않음을 알기에 그런 생각을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온 가족이 함께 사는 평범한 일상이 끝나가려는 것을 짐작하고 있었기 때문일 수도 있고. 여하튼 테레제는 그렇게 목록을 정리한다. 모두 12가지인데 어른이 보기에는 그리고 딱히 종교를 갖지 않는 내가 보기에는 별다르게 특별한 것도 없다. 그럼에도 테레제는 그것으로 위안을 받고자 하는 모습이 드러난다.

엄마와 아빠가 이혼을 하는 것에 불안을 느끼면서도 시종일관 테레제와 얀의 이야기에 집중된다. 번개가 번쩍 치듯이 갑자기 사랑에 빠져 버린 테레제. 세상의 종말에 관한 자문을 구한다는 핑계로 독실한 기독교인인 얀을 옆에 붙어 있게 만드는 일에 모든 관심을 집중시킨다. 결국은 언니를 보호막으로 해서 셋이 로마로 여행을 떠난다. 이런 부분을 읽으면 정말 지리적 여건의 차이라는 것을 실감한다. 비자도 필요없고 언어에 대한 부담도 없는 해외 여행이라. 그냥 '떠나 볼까' 마음 먹고 외국으로 떠난다는 것이 우리의 현실에서는 그저 꿈일 뿐이다.

그렇게 떠난 로마 여행길에서 자폐증이 있는 언니 때문에 몇가지 사건이 있긴 하지만 오히려 얀과의 완충 역할을 해주는 셈이다. 할아버지의 전화 한 통 때문에 갑자기 용기를 얻은 테레제는 얀의 마음을 확인함으로써 종말이 오는 것에 대한 과제를 해결한다. 아까는 지리적 차이를 느꼈지만 이제는 문화적 차이를 느낀다. 과연 손녀가 그것도 아직 어린 손녀가 남자 친구와 여행을 떠났는데 거기다가 좋아한다면 키스를 하라고 부추기다니... 멋지다고 해야 하나, 지나치게 관용적이라고 해야 하나. 어쨌든 목록에 있는 여러가지를 한꺼번에 얻은 테레제는 이제 새로운 시작을 위한 준비를 했다. 앞으로는 어른의 일로 인해 받게 되는 충격도 잘 견뎌낼 힘을 가진 것일 게다. 그렇게 이해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