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바 페론 - 탐욕으로 얼룩진 아르헨티나의 성녀 아이세움 역사 인물 15
달렌 R.슈틸레 지음, 이민아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보통 인물 이야기라함은 위대한 업적을 남긴 사람들을 위주로 하지만 요즘은 그런 고정관념이 많이 바뀌는 듯하다. 다양한 방면에서 인물을 발굴해 내고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는 요즘의 시도가 무척 반갑다. 예전의 인물 이야기들은 대개 예정론을 따르고 지나치게 미화시키는 등 현실과는 동떨어진 인물로 그리는 경향이 있어서 은근히 반감을 가지고 있던 터에 나오는 역사 인물 이야기는 그래서 더욱 찾아 읽는다.

이번에는 별로 주목하지 않는 대륙의 별로 주목하지 않는 인물 이야기다. (사실 아직도 외국의 인물은 미국의 시각에서 바라본 인물을 위주로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나마 요즘 조금씩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는 인물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것이 약간의 변화라면 변화겠다.) 인물을 바라보는 시각은 시대에 따라 그리고 나라의 입장에 따라 다르기 마련이다. 자국에서는 위대한 인물로 여겨질 수도 있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나쁜 사람으로 치부될 수도 있으니까. 우리가 기억하기로 페론은 독재자이며 부정을 많이 저지른 인물이다. 그나마도 남미 대륙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생소한 이름일 수도 있다. 그런데 페론도 아닌 그의 부인인 에바 페론에 대한 이런 이야기... 상당히 구미가 당기는 책이다.

실은 에바 페론이라는 인물에 대해 영부인으로서 사회복지에 관심이 많았고 많은 일을 했다는 정도 밖에 몰랐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그녀의 삶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 애쓴다. 물론 아직도 그녀의 행동들이 정말 순수한 마음에서 우러나온 것인지 아니면 다른 무언가를 얻기 위한 수단에 불과한 것인지 확실하지 않지만, 의도야 어쨌든 그 나라 사람들은 에바 페론을 상당히 높게 평가하는 것만은 확실하다. 이것은 비단 그 나라 사람들 뿐만 아니라 외국인인 내가 보기에도 그럴 만한 충분한 이유가 된다고 본다.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였다 해도 그렇게 노동자들의 요구를 들어주려 하고 부를 분배하려고 노력했으니 말이다. 특권을 이용한 면도 없지 않지만... 

실제로 후안 페론은 에바가 죽은 후로 심한 독재자의 길을 걸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에바가 살아서 계속 같이 나라를 이끌었다면 아르헨티나 사정이 조금은 더 좋아지지 않았을까. 역사에 있어 '만약'이라는 말은 의미가 없다고 하지만 이것만 보더라도 에바 페론의 숨은 의도야 어찌되었든 그녀의 존재가 순기능을 했음을 증명하는 것일 게다. 이처럼 단순히 인물의 업적을 위주로 서술하는 것도 아니고 모든 것을 세세하게 알려줘야 한다고 생각하지도 않으며, 그 시대의 상황을 함께 보여줌으로써 인물에 대한 평가를 열어 놓는 이런 책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