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날개 잃은 천사 ㅣ 모두가 친구 2
마야 글.그림, 임지영 옮김 / 고래이야기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책을 고를 때 출판사 인지도를 전혀 무시하지는 못한다. 그래서 간혹 좋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출판사에서 나왔다는 이유로 사람들의 관심을 덜 받는 경우가 있다. 물론 책의 가치를 아는 사람들이야 작가나 출판사 등 외형적인 기준에 좌우되지 않기도 하지만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그렇지 못하다. 그런 의미에서 낯선 출판사의 이 책을 보게 된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하마터면 이런 책을 못보고 넘어갈 수도 있었을 테니까...
장애를 다룬 어린이책은 참 많다. 우리 작가가 지은 책도 많고 번역된 책도 많다. 또한 접근 방식도 다양하고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방식도 다양해졌다. 그래서 예전에는 의도가 너무 훤하게 드러나서 많은 반감을 사기도 했지만 이제는 작품성 면에서도 뒤지지 않는 책들이 많다. 그러면서도 아이들에게 장애를 바라보는 올바른 시각을 갖도록 하는 것 또한 잊지 않는다.
동생은 다르다고 시작하는 이 책은 글을 최대한 아낀다. 이러쿵 저러쿵 설명하지도 않고 그저 동생이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동생이 친구들에게 어떤 취급을 받는지를 담담하게 이야기한다. 특히 친구들이 동생 의자에 본드를 칠해 놓은 장면 다음 장에는 한밤중에 엄마가 울면서 빨래를 하고 '나'는 몰래 들여다본다. 사실 그 부분에서 그냥 엄마가 속상해서 우나보다 했는데, 함께 보던 둘째가 본드 묻은 걸 빠는 것 아니냐고 한다. 아차 싶었다. 내가 미처 생각지 못한 것, 아니면 나는 엄마에 나를 대입하느라 그런 것까지 생각하질 못했는데 아이는 거기까지 생각했나보다. 역시 글과 그림으로 이야기하는 그림책에서는 아이와 어른의 구별이 불필요하다. 아니 오히려 아이들이 그림을 더 잘 이해하기도 한다.
작가의 여동생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며 썼다는 이 책은 어쩌면 그래서 더 생생한지도 모르겠다. 막연하게 이럴 것이다가 아니기 때문에... 타이완 아동문학상 창작그림동화 부문 수상작인 이 책은 비록 낯선 작가에 낯선 출판사지만 분명 읽을 만한 책이다. 날개를 잃어버렸기 때문에 우리가 도와주어야 한다는 엄마의 말을 이야기하는 부분에서는 아무런 그림도 배경도 없이 그저 깜깜하다. 아마도 현실을 표현한 것이겠지. 이미 잃어버린 날개가 다시 돋아날 때까지 그들이 아무런 차별이나 냉대없이 살아갈 그 날이 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