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담은 지도 지식 보물창고 3
잭 놀튼 지음, 해리엇 바턴 그림,임문성 옮김 / 보물창고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지도에 대한 것을 배운다. 그 전에는 별로 지식적인 면에 신경을 쓰지 않다가 학교에서 배운다기에 여러가지 책을 안겨주지만 아이는 그다지 관심도 없는 것 같고 이해도 못하는 것 같다. 이게 바로 내가 큰아이 때 경험한 것이다. 그 후로도 교과와 연관된 책을 찾아보며 같이 이야기해 보았지만 큰 효과는 보지 못했다. 아마도 딱딱한 지식책이거나 너무 축약된 내용이라 그랬던 것 같다. 아니면 한 부분에 대한 것만 나오는 책이 대부분이어서 여러 권을 함께 구비해야했다.

그런데 이 책은 한 권 안에 모든 내용이 다 들어 있다. 그래서 부제도 '초등 학생을 위한 첫 지리 교과서'라고 되어 있나보다. 지도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와 탐험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바다에 대한 이야기와 축척과 경도 위도에 대한 이야기 등 기초적인 지식이 모두 들어있다. 게다가 설명도 어렵지 않게 되어 있어서 개념을 잡아야 할 때 좋다. 특히 둥그런 지구본에 있는 것을 평평한 종이에 옮길 때 문제가 되는 부분을 아이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에 대한 설명도 쉽게 되어 있다. 물론 그것을 좀 더 자세한 그림으로 그려줬으면 더 좋았겠지만.

읽으면서 우리 작가가 만든 책이 아니라는 것을 절감했다. 설명의 배경도 모두 아메리카고 예로 든 지역도 미국의 어느 지역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낯선 것은 지도에 나타난 대륙의 배치다. 우린 항상 태평양이 가운데 위치해 있고 우리나라가 중앙에 위치해 있지만 여기 나오는 지도는 모두 대성양이 가운데 있으며 아메리카 대륙이 중앙에 있다. 바로 자신의 나라를 가운데 두는 특성 때문이다. 하긴 그래서 우리 아이들의 경우 영국과 프랑스 등 유럽이 미국이나 남아메리카를 식민지로 삼았다는 것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평면 지도상에서 보면 왼쪽 끝에 있는 유럽이 어떻게 오른쪽 끝에 있는 아메리카 대륙을 갈 수 있겠나라는 생각에... 

그러나 걱정할 것 없다. 본문에서 미국 중심의 설명이 이어진다면 뒷부분에 있는 부록에서는 바로 우리 중심의 설명이 덧붙여 있어서 지금까지 보았던 것들을 우리 시각으로 다시 되돌아볼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대한 이야기도 해주고 동해와 독도에 대한 이야기며, 자국을 중심에 두는 지도의 특성도 모두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양재동에 위치한 출판사 지도를 예로 들어 보여줌으로써 아이들에게 실질적인 자료를 보여준다. 이 책을 읽고 아이들과 우리 동네 지도를 그려보는 것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