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형제 - 날개가 필요해 우리들의 날개 아름북스 12
이은하 지음, 홍영지 그림 / 삼성당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가끔 왜 아이들에게 책을 읽히는 것일까를 생각한다. 단순히 읽히는 것이 아니라 왜 안간힘을 쓰는 걸까. 예전에는 간접경험과 사고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라는 추상적인 목적이 있었지만 요즘은 아무래도 논술을 잘 하기 위해서라는 좀 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목적이 생긴 것 같다. 그렇다면 어린이책의 기능은 무엇일까. 이것에 대해서는 물론 정확한 답이 있을 수 없고 그럴 필요도 없을 것이다. 닫혔던 마음을 열게 할 수도 있고 상처 받았던 마음을 아물게 하는 치유의 기능이 있을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의 마음이나 상황을 헤아릴 줄 아는 기능을 하기도 할 것이다. 그런 면에서 간접경험과 일맥상통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 책은 어떤 기능에 속할까. 물질적으로 풍부할지언정 정신적으로 궁핍한 가정에서 살아가는 대철이. 자식보다는 애완견에 정성을 더 쏟으며 자식의 마음이 어떤지 기분이 어떤지는 아예 관심도 없으며 오로지 돈 쓰는 재미로 사는 듯한 엄마와 자식을 엄하게 키운답시고 조금만 실수를 해도 허리띠로 때리는 아버지(이것은 훈육이 아니라 학대 수준이다.)와 사는 대철이를 보면 어쩜 그리 상황이 골고루 섞여 있을까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그러니 대철이가 올바르게 행동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거기다가 부모님이 싸우면서 대철이를 임신했을 때 지울 걸 괜히 낳았다는 둥, 대철이 때문에 억지로 살고 있다는 등의 소리를 들은 아이의 마음은 어땠을까. 아마 자신이 이 세상에 필요 없는, 가치 없는 존재로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 아버지까지 툭 하면 쓰레기 같은 놈이라고 했으니 더욱 그럴 수밖에. 그러나 전학 온 학교에서 만복이라는 가난하게 살지만 자신의 존재가치를 충분히 느끼고 있는 친구를 만나면서 조금씩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 

그러나 위에서 말한 기능적 측면에서 보자면 이 책은 작가가 너무 무책임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아이들에게 대리만족을 주는 것도 아니고 동일한 아픔을 가진 아이에게 치유의 기능을 하는 것도 아니다. 물론 친구들 문제만 본다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대철이가 학교에서 문제 행동을 하고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것에 앞서 가정내 문제가 근본적인 것일텐데 그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입도 하지 않는다. 평소 어린이책을 볼 때 열린 결말을 좋아하는 편이지만 이것은 열린 결말이라고 하기에는 뭔가 찜찜하다. 분명 마지막 부분에는 대철이가 만복이와 친하게 지내며 자신의 고통을 나눌 친구를 찾은 것이 분명함에도 어딘지 불안정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혹시 그 후에 일어날 더 커다란 아픔(가족의 해체로 인한)이 예측되기 때문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