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나라 가게 마음이 자라는 나무 12
데보라 엘리스 지음, 곽영미 옮김, 김정진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세상이 변하고 사람들의 가치관과 생각이 변한다는 것이 참 신기하다. 예전에는 공중파 방송에서 이혼이나 재혼을 다루는 것이 파격이라고 느낄 때가 있었는데 이젠 아무렇지도 않듯이 에이즈에 대한 것도 조금씩 거론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외국의 경우는 동성애에 대한 어린이책도 나온 것으로 안다. 우리 정서상 에이즈는 어떻게 받아들인다쳐도 아직 동성애에 관한 것을 받아들일 때는 아닌 것 같다. 그렇다면 언젠가는 그런 것도 별스럽지 않게 받아들여지지 않을까라는 예상을 조심스럽게 해본다. 이처럼 내가 속한 현재에 가치관이 변화하는 것을 목격하는 것은 정말이지 신기하다. 물론 아직도 에이즈라는 것은 책이나 드라마에서나 볼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긴 하지만 말이다.

이처럼 우리는 나와 상관없는 병으로 인식되는 에이즈가 아프리카에서는 아주 흔한 병이란다. 실제로 심각할 정도로... 그러기에 작가는 작정하고 그 문제를 꺼낸 것이겠지. 우리가 생각하듯 문란한 생활 때문이라기 보다는 당장 먹고 사는 것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거기에까지 신경 쓸 여력이 없는 것이다. 예방에 대한 개념도 없고 치료를 할 수 있는 여건도 조성되지 않았으니 점점 늘어날 수밖에. 게다가 HIV 바이러스는 잠복기가 거의 10년이라고 하니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옮길수도 있는 것이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환경이 이렇게까지 안 좋아질 수 있을까 혹시 작가가 극적 구성을 위해 극단적인 상황을 만든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까지 들 정도였다. 그러나 실화를 다룬 책들을 읽었던 것과 비교해 볼 때 결코 과장은 아니라는 것이 인정하고 싶지 않은 현실이다. 기아에 허덕이고 있는 상황에서 문화적인 것이나 교육에 눈을 돌릴 여유가 없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겠다.

그래도 빈티가 아빠가 살아계실 때는 라디오 방송도 하는 꽤 잘나가는 부류에 속하지만 아빠가 에이즈로 돌아가시자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는다. 아니 아빠와 엄마가 에이즈로 돌아가셨다는 사실은 그저 고생을 조금 더 하게 하는 요소일 뿐 정작 근본적인 문제는 사회적 구조 때문일 것이다. 물론 우리 나라에서도 현재 그런 일이 발생하기는 하지만 이처럼 속수무책으로 당하지는 않을 것이다. 장례를 치른답시고 몰려온 친척들이 빈티의 집에 있는 온갖 물건들을 가져가질 않나, 아예 집도 가로채서 돈을 챙기고 아이들은 데려다가 혹사시키질 않나 하는 일련의 행동들을 보며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양심도 없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그러나 이것은 국가적으로 통제하고 집행할 만한 제도장치가 없다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점이라고 본다. 어떤 나라는 풍부한 쳔연자원 때문에 국가는 엄청난 부자지만 국민은 너무 가난한 경우도 있다. 바로 부패한 사회 정치적 구조 때문이다. 이런 일이 그저 소설속에서만 존재하는 상황이라면 얼마나 좋을까마는 현실이 그렇단다. 아직도 인간 이하의 대접을 받으며 노예처럼 사는 아이들이 진짜로 있단다. 이 암담한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그래도 나중에는 빈티와 언니 오빠가 함께 의지하고 거기다가 부모가 없이, 언제 HIV 양성자로 판명날지 모르는 많은 아이들과 함께 의지하고 사랑하며 사는 모습을 보며 그들도 그냥 평범한 인간이구나가 느껴졌다. 비록 언제 갑자기 병세가 나타날지 모르는 상황일지라도 현재에 충실하며 사는 모습은 숭고하기까지 하다. 그러나 현실에서 그런 사람들이 있다면 과연 우리는 아니 나는 어떤 반응을 보일까... 작가는 이 책을 쓰기 위해서 말라위와 잠비아 등지의 에이즈에 걸린 아이들을 직접 만났다고 한다. 그러기에 이것이 완전한 허구가 아니라 어딘가에서 일어나는 일이라는 것이 마음 답답하게 만든다. 그나마 빈티가 실존인물은 아니라는 말에 위안을 얻는다. 비록 그와 같은 상황에 처한 아이들이 많긴 하지만 말이다. 이 책을 문학작품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사회고발적인 소설로 접근하는 편이 맞겠다. 그러기에 문학적 수준으로는 그다지 좋은 점수를 줄 수 없다손치더라도 이 시대 아이들이 꼭 읽어봤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