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의 방 그림책 보물창고 31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이유진 옮김, 한스 아놀드 그림 / 보물창고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부모의 생각과 달리 아이들에게 있어 동생의 출생은 시련의 시작이다. 특히 첫 아이의 경우 그동안 부모의 사랑을 독차지하다가 반으로 나누어야 하니 그 상실감은 오죽할까. 아니 차라리 반으로 나눠지면 좋으련만 반의 반도 남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래서 어린이책에는 유독 형제관계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 때론 싸우기도 하고 미워하기도 하는... 그러나 결국 나중에는 안다. 소중한 사람이라는 것을... 하지만 그렇게 되기까지의 과정은 결코 순탄하지 않다.

베라도 동생이 태어나면서 엄마를 빼앗겼다고 생각해서 아예 다른 곳으로 사랑을 찾아 나선다. 그것이 바로 장미 덤불에 살고 있는 쌍둥이 동생이다. 태어나자마자 뛰어나가 장미덤불 아래로 숨어버린 동생. 도대체 왜 거기에 숨었을까? 그거야 어찌됐든 베라에게는 그런 동생이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동생은 언니를 그냥 언니라고 부르지 않는다. 꼭 '사랑하는 언니'라고 부른다. 왜 베라는 사랑에 그토록 집착할까. 아마도 동생이 태어나면서 사랑을 빼앗겼다고 생각하기에... 이제는 아무도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에 그랬던 것일까.

베라는 아무도 자기에게 관심을 갖지 않을 때면 동생 윌바리가 살고 있는 비밀의 방으로 가서 실컷 놀다 온다. 거기서는 윌바리가 여왕이기 때문에 무엇이든 다 있으며 무엇이든 다 할 수 있다. 그토록 갖고 싶은 강아지도 있다. 엄마와 아빠는 돈도 많이 들고 힘 들어서 안 된다고 하는 강아지 말이다. 그러나 베라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것은 바로 남동생에게 해롭기 때문이라는 이유일 것이다. 다른 것이야 이해할 수 있지만 동생 때문에 안 된다는 이야기는 아마도 자신을 거부하는 것으로 느꼈으리라.

그러나 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는 법일까. 윌바리는 장미가 시들면 자신도 죽을 것이라는 사실을 듣기 싫다는 언니에게 억지로 들려준다. 왜? 쌍둥이 동생이면 나이도 얼마 되지 않는데... 이렇게 베라가 도피처에서 떨어져나와 스스로 설 수 있게 될 날이 멀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엄마가 동생에게 신경을 더 써주는 것이 자신을 미워서가 아니라 단지 동생을 좀 더 돌봐줘야하기 때문임을 이제는 알게 된 것일 게다. 그만큼 자랐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한다. 즉 윌바리가 죽는다는 것은 베라가 더 이상 가상의 동생을 찾아갈 필요가 없음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렇게 윌바리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달이 떠오른 뒤에야 베라는 집으로 돌아간다. 방에는 아빠가 사온 멋진 선물이 기다리고 있고... 이제 베라는 소원이었던 까만 푸들을 키울 수 있게 된 것이다. 정원에 있는 장미는 시들었고 비밀의 방으로 가는 구멍도 사라졌다. 아니 어차피 더 이상 비밀의 방으로 갈 필요도 없었을 것이다. 진짜 친구가 생겼으니까. 강아지는 단순한 강아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엄마 아빠의 사랑을 확인하는 수단이며 자신의 존재가치를 확인하는 척도다. 그럼으로써 이제는 남동생의 존재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가슴 뭉클하면서도 우리 큰 아이도 이런 마음을 가지고 어린 시절을 보냈겠구나를 생각하면 어쩐지 짠한 마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