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는 인형 미라벨 그림책 보물창고 32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이유진 옮김, 피자 린덴바움 그림 / 보물창고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이번 어린이날은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게 지나갔다. 다른 때 같으면 아이들이 원하는 선물을 사러다니느라 힘들었을텐데 그만해도 컸기 때문인지 간절히 원하는 것이 없기 때문인지 별 말 없이 지나갔다. 하긴 둘째야 미리 당겨서 원하는 것을 갖기는 했지만...

아이들은 시기별로 원하는 것이 있다. 또한 그 당시에 유행하는 것을 원하기도 한다. 이 책에서도 브리타는 인형을 몹시 갖고 싶어한다. 아마도 배경으로 보아 아이들 놀잇감으로 인형이 막 대중화될 때가 아닐까 생각되기도 한다. 여하튼 읍내 장난감 가게 앞을 지날 때마다 인형이 몹시 갖고 싶지만 브리타 부모님은 그런 것을 사 줄만큼 형편이 넉넉하지 않다. 물론 브리타도 그걸 잘 알고 있다. 그러기에 인형 대신 진짜 살아있는 닭을 인형인 양 안고 다니는 것이겠지. 하긴 외딴 곳에서 친구도 없이 혼자 놀려면 얼마나 심심했을까. 그럴 때 인형이라도 있으면 위안이 많이 될텐데...

그러나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고 했던가. 브리타에게 아주 특별하고 신기한 일이 일어난다. 엄마 아빠가 시장에 가고 브리타 혼자 집에 있는데 어스름 저녁에 어떤 할아버지에게 울타리 문을 열어주고 받은 씨앗을 심는다. 씨앗에 물을 흠뻑 주라는 할아버지 말대로 브리타는 정성껏 씨앗을 돌본다. 그러다 마침내 씨앗에서 굉장한 일이 일어난다. 바로 인형이 자라는 것이다. 자라고 자라서 결국은 인형이 뽑힐 정도까지 자란다. 그러나 신기한 것을 그게 다가 아니다. 말까지 하는 것이다. 물론 말은 다른 사람이 있을 때는 절대 하지 않고 브리타와 둘이 있을 때만 한다. 아이들책을 보다 보면 흔히 나오는 이야기. 그러나 이 책이 씌어진 때를 감안한다면 그런 플롯을 먼저 사용한 것은 바로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이 아닐까 생각된다.

자신의 이름이 미라벨이라고 밝히는 당돌한 인형 미라벨과 함께 브리타는 이제 더이상 심심하거나 외롭지 않을 것이다. 이제 닭이 사용했던 침대를 미라벨에게 주지만 미라벨은 브리타 침대에서 같이 자겠다고 당당하게 요구한다. 결국 닭이 그 침대를 계속 사용하게 되었고... 하지만 여전히 닭도 브리타와 함께 붙어다닌다. 첫 페이지의 그림과 마지막 페이지의 그림 변화가 재미있다. 읽는 도중에 아이는 약간 무섭다고 한다. 실은 나도 그랬다. 마치 말하는 인형이 무슨 일을 벌이지나 않을까 해서 괜히 긴장했었다. 아마도 그런 종류의 무서운 이야기를 많이 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중간에 이상한 할아버지를 만난 부분의 그림은 색상이 다른 그림과 구별된다. 그럼으로써 무언가를 암시하는 듯 하다. 아주 오래전에 씌어진 이야기라서 요즘의 그림책 경향과는 차이가 나지만 역시나 작가의 상상력은 대단하다. 지금까지 많은 책을 보아왔지만 인형이 자란다는 이야기는 보질 못했다. 글의 분량이 결코 적지 않은데도 지루한 줄 몰랐다. 역시나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