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진아 팬클럽 회장님 책읽는 가족 54
이용포 지음, 한지선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할머니 할아버지의 정을 모르고 자랐다. 외할머니만 계셨었는데 다정다감하신 성격이 아닌지라 자주 놀러가지도 않았고 사근사근 말을 한 기억도 별로 없다. 그러나 우리 아이들은 지금도 외가에 가는 것을 가장 좋은 일로 생각할 정도로 정을 듬뿍 받는다. 큰 아이는 외가에 가면 할머니랑 잘 정도다. 아마 우리 아이들이 크면 할머니와 할아버지에 대한 추억이 많고 특별한 정도 느끼겠지. 그런 면에서 부모님께 감사드린다. 아이들에게 좋은 추억 많이 만들어주시고 정도 듬뿍 주시니까.

늙는다는 것은 어느 생물이나 피할 수 없는 운명이다. 그러나 두려워하고 꺼리는 것 또한 사실이다. 지금은 워낙 매스컴에서 이야기를 많이 해서 '고령화 사회'라던가 '노인문제'라는 말을 다들 알 것이다. 비록 실감하거나 피부로 느끼지는 못하더라도... 이용포 작가는 작정하고 노인 문제를 꺼낸다. 그분들의 삶이 어떠한지 고민이 무엇인지 또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들려준다. 처음에는 단편이라는 것을 모르고 다음 이야기가 어떻게 전개될지 궁금해하며 다음 장을 넘겼는데 아무래도 내용이 이상해서 보니 각각이 다른 이야기였다.

5편의 이야기가 모두 노인들의 삶을 다루고 있다. 비록 화자는 아이지만 단지 이야기를 이끌어 갈 뿐 그 이상의 역할은 하지 않는다. 나머지는 모두 독자가 읽으며 느끼는 것이다. 혼자 사는 노인의 외로움을 이야기하기도 하고, 가부장적인 가정에서 살림만 하며 누구의 아내나 어머니, 할머니로만 살다가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삶을 사는 모습을 그리기도 한다. 또한 노인의 재혼에 대한 이야기도 하고 치매 문제도 다루는 등 노인에게 일어날 수 있는 대부분의 상황을 골고루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읽는 내내 과연 아이들이 이 상황들을 얼마나 공감할까 내심 궁금했다. 아니 걱정됐다. 비록 세 편의 이야기가 아이가 주인공인 일인칭 시점을 취하고는 있지만 자꾸만 그 안에 어른이 오버랩된다. 아무래도 작가의 입김이 너무 세게 작용한 것은 아닐런지... 마지막 이야기에서는 마지막에 자식들이 대문을 밀고 들어오며 엄마를 부를 줄 알았는데 몇 줄 밖에 남지 않았는데도 끝내 그런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다. 한편으론 무조건 끝을 행복하게 마무리 해야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히지 않은 작가인 것 같아 좋으면서도 할머니가 안스럽다. 이런 것이 바로 여운이라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