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네기 - 나눔을 실천한 따뜻한 강철왕 아이세움 역사 인물 10
다나 미첸 라우 지음, 김민석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간혹 책을 읽다가 열받는 경우가 있다. 사회과학 도서를 읽으면서야 많이 느꼈던 것이지만 어린이책을 읽으면서는 거의 느끼지 못하는 감정이다. 대개 재미와 감동, 자괴감 내지는 부러움 등을 느낄 뿐이지. 그러나 오늘 책을 읽으며 열 받았다. 우리나라에는 왜 카네기 같은 사람이 없는 것일까. 왜 빌 게이츠나 워렌 버핏 같은 사람이 없는 것일까. 여기서 언급하는 인물은 단지 그들의 성공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그들의 위대함이나 인물 됨됨이 전부를 말하는 것도 아니다. 카네기도 냉혹하기도 했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불법적인 일도 했으며 마찬가지로 빌 게이츠도 소송에 걸린 적도 있으니 말이다. 다만 그들은 부자의 책임이 무엇인지 알고 더 나아가 실천을 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싶다.

인물에 대해 안다는 것은, 알아간다는 것은 단순히 그의 어린 시절이 어땠고, 학교에서 어땠으며 무슨 훌륭한 일을 했는지를 보는 것이 아니다. 사회 속에서 어떻게 생활했으며 어떤 신념을 가지고 살았는지도 함께 보아야 한다. 그런 면에서 이 시리즈를 참 좋아한다. 단순히 인물의 삶만을 조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상황까지 두루 살피고 있어서 이해하는데 훨씬 용이하기 때문이다. 본문을 읽는 동안에는 카네기가 어려운 사정에도 불구하고 정말 성실했으며 머리도 좋았고 운도 좋은 그야말로 보통의 위대한 인물이 자란 시절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그의 생애를 개략적으로 훑어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뒷부분에 나와 있는 '역사 마주보기'를 보면 그제서야 한 인물에 대한 것이 완전히 드러난다. 그의 치부까지도.

예전에 텔레비전에서 고 정주영 회장을 모델로 한 드라마를 한 적이 있었다. 그 드라마에서 보여 주었던 정주영의 모습과 카네기의 모습이 많이 비슷하다고 느꼈다.(이렇게 이야기하면 카네기에게는 굉장한 모독이 된다.) 물론 성공하기까지의 과정이 그렇다는 것이다. 성실하고 미래를 보는 안목이 있으며 사업가로서 탁월한 능력이 있었기에 둘 다 유능한 기업가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비슷한 점은 거기까지였다. 부자가 된 그 이후의 삶은 전혀 다르다. 한 명은 더 많이 벌기 위해 기를 쓰다가 종국에는 권력까지 틀어쥐려고 한 반면, 다른 한 명은 훌훌 털고 자선사업가로 변신한다. 은퇴라는 말은 이럴 때 써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재벌들의 은퇴란 한 발 뒤로 물러나서 자식들이 잘 하나 감시하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 별의별 펀법을 다 동원해서라도 자식에게 물려주려고-문제는 어떻게하면 세금을 덜 내느냐가 관건이다.-안간힘을 쓰는 모습과 카네기의 모습과는 너무나 대조적이다.

사회적 성숙도라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이 책을 보면서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물론 우리도 선뜻 기부를 해서 모두를 흐뭇하게 하는 뉴스를 접하곤 한다. 그러나 그건 어디까지나 개인이 한 번, 그것도 주로 대학에 기부하기 때문에 혜택을 받는 사람들은 미래의 주류에 들어갈 확률이 높은 사람들이다. 누구에게나 기회가 주어지는 공공재에 대한 기부는 별로 없다.(있다면 생색내기나 여론 무마용이다.) 하긴 개인이 도서관을 만들어서 시에 기부하겠다고 해도 관리하기 힘들다고 안 받는다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니 어쩌랴. 이것이 바로 사회적 성숙도가 낮은 것을 방증하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나. 그러나 아직 희망을 갖고 싶다. 우리는 민주화가 된 지 50년이 조금 넘었으니 200년정도 되면 좋아지지 않을까 하고... 그런데 카네기는 그 시기의 마마보이였나? 어머니가 결혼하는 것을 별로 내켜하지 않는다고 50이 넘어서까지 혼자 살다가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나서야 결혼을 하니 말이다.하하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