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이 되기 전에 꼭 읽어야 할 만화 국어 교과서 1 - 맞춤법 되기 전에 시리즈 4
고흥준 지음, 마정원 그림, 정호성 감수 / 스콜라(위즈덤하우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린이책을 읽을 때는, 비록 안 좋은 습관인 것을 알지만 빨리 책장을 넘긴다. 아무래도 내용이 쉽고 자간 간격이나 줄 간격도 넓기 때문에 그럴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정독을 했다. 아니 해야했다. 만화로 되어 있다지만 내용이 그리 호락호락한 게 아니었기에 찬찬히 읽고 아리송하면 다시 넘겨서 읽고... 그러다보니 다른 책보다 오래 걸렸다. 그래도 읽고 나니 뿌듯하다.

사실 이 책에 나온 내용들이 생소한 것은 아니다. 작년에 논술지도 수업을 들으면서 한 번씩 보았던 것들이고, 회보를 만든답시고 띄어쓰기 편람을 들고 다니며 찾아보았는데도 왜 기억에 남는 것은 얼마 되지 않고 다시 보니 새로운 것들일까. 그때 헷갈리고 어려워했던 부분은 역시나 이 책을 보면서도 헷갈렸다. 특히 사이시옷 관련 부분... 가장 갈피를 잡지 못하는 부분이 아닐까싶다. 그리고 다른 법칙들도 이해하려고 애쓰다 도저히 안되겠다 싶어서 외우려고 하면 예외로 인정되는 부분이 나타나서 포기했다. 그냥 필요할 때 찾아보는 것이 더 현명하고 시간도 절약되리라 생각한다. 아무리 예외 없는 규칙이 없다지만 그 예외가 너무 많아서 어렵다.

맞춤법과 띄어쓰기 관련 책을 읽고 글을 쓰려니 무척 조심스럽다. 혹시 잘못 쓰고 있는 것은 아닐지, 띄어쓰기가 틀린 것은 아닐지 걱정된다. 전에는 그냥 모르는 척하고 썼지만 그에 관한 책까지 읽고 전처럼 쓰자니 낯이 화끈거린다. 그러나 책 한 번 읽었다고 모든 것을 익힐 수는 없는 것 아닌가. 그저 다시 보고 또 보고 해서 완전히 자기 것이 되어야지...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는 그냥 눈으로 보면 익혀지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직접 써 보아야지만 확실하게 다가온다. 따라서 아이들이든 어른이든 직접 자신의 글을 쓰면서 아리송한 부분은 책에서 찾아보며 익혀야 조금이라도 머릿속에 남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런 책은 아이들이 두고두고 보아야 할 책이다.

앞으로는 초등학교 교과서도 [표준국어대사전]의 맞춤법을 따르기로 했단다. 둘이 서로 달라서 헤매지 않아도 되어 다행이다. 언어란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하는 것이라는 것을 다시금 느낀다. 그리고 의외로 내가 사용하는 단어가 협소함을 느꼈다. 모르는 단어(특히 형용사)가 왜 이리 많은 건지... 아름다운 우리 말이 이렇게 많은데도 그저 사전에서나 볼 수 있는 말로 남아있다니 안타깝다. 그리고 지금까지 날씨가 흐린 날은 '꾸물꾸물'이라는 표현을 했는데 앞으로는 '끄물끄물'이라고 써야겠다. 원래 사용하지 않던 것은 처음에 어색하지만 자꾸자꾸 쓰다 보면 익숙해지는 법이니까. 그러나 간혹 제대로 된 말을 사용함에도 다른 사람이 오해를 하는 경우가 있다. 원래 왼손잡이 나라에서는 오른손잡이가 이상해 보이는 법이지.

여하튼 이번처럼 리뷰 쓰기 조심스러웠던 적은 일찌기('일찍이'가 아니라고 한다.)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