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따, 남의 일이 아니야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지침서 인성교육 보물창고 2
베키 레이 맥케인 지음, 토드 레오나르도 그림, 최지현 옮김 / 보물창고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이 학교에 들어갈 나이가 되면 부모들이 가장 많이 걱정하는 부분이 왕따 문제가 아닐까 싶다. 그래서 무엇보다 친구들과의 관계에 신경쓰고 학교에서 돌아오면 제일 먼저 물어보는 게 친구 사귀었냐는 것이다. 따돌림이라는 말이 언제부턴가 더 무서운 어감인 왕따라는 말로 치환되었다. 사실 예전에도 따돌림이라는 것은 있어 왔는데 유독 요즘에 문제시 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나름 곰곰 생각해 보았는데 지금은 매스미디어의 영향으로 보고 듣는 것이 더 많아지는 반면 사회는 점점 개인주의로 흐르기 때문이 아닐런지... 내가 어릴 때는 우리 동네 뿐 아니라 이웃 동네, 심지어 사방 몇 킬로미터 이내의 어른들은 대부분이 알고 지내니 나쁜 짓을 해도 금방 부모님 귀에 들어가지만 지금은 이웃도 서로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허다하니 자기 아이에 대해서 그리고 남의 아이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 너무 없다. 실제로 집에서의 모습과 밖에서의 모습이 정반대인 경우도 많다고 한다. 그러니 내 아이라도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처음에는 너무나 직설적인 제목에 당황했다. 판형은 그림책인데... 그렇다면 대부분 은근슬쩍 화제를 던져 준다거나 여운을 남기며 끝내는 것이 보통인데 뭔가 좀 다르다는 느낌이 들었다. 제목 아래를 보니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지침서'라고 되어 있다. 음... 목적이 확실히 드러나는구나. 그러면서 한 장 한 장 읽었다. 처음에는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러나 책을 덮고 나면 왜 지침서라는 말이 들어갔는지 알 것 같다. 이 책은 감동을 주기 위한 책이 아닌 것만은 확실하다. 그러나 읽고 나면 마음이 환해진다. 또한 무거운 짐을 내려 놓은 듯한 홀가분한 마음도 든다.

선생님이 안 보는 동안 몇 명의 아이들이 레이를 괴롭힌다. 그러나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은 모두 알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저 모른 척 하거나 여럿이 뭉쳐 있으면서 그런 상황을 만들지 않을 뿐이다. 화자인 나는 그 아이들을 말리려고 하지만 아니 말리고 싶지만 그런 용기가 나지 않는다. 말리러 가는데 여자 아이가 소매를 잡아 끄는 그림은 현실을 너무 적나라하게(솔직히 말해서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상황이면 대부분이 그럴 테니까. 그러나 화자인 나는 결국 선생님께 모든 것을 이야기하고 먼저 레이에게 다가가 말을 건다. 못된 아이들이 괴롭히려고 하는 순간에 교장 선생님과 담임 선생님이 나타나서 현장을 목격한다. 여기서 그림이 재미있다. 한 아이는 레이의 공을 뺏으려고 하고 선생님을 발견한 아이는 차려 자세로 있으며 다른 아이는 선생님이 온 줄도 모르고 공을 뺏으려고 하는 아이의 등을 쿡쿡 찌른다. '야, 선생님 오셨어.'라고 하듯이. 그 후로 아이들 부모님이 학교에 와서 교장 선생님과 이야기를 하면서 모든 일은 잘 마무리 된다. 

현실에서도 이런 풀이법대로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실제로 가해 학생의 부모가 더 큰소리 치는 경우가 흔하다고 한다. 과연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만약 아이 반에 집단 따돌림을 당하는 친구가 있다면 내 아이에게 그 친구에게 네가 친구가 되어주라고 얘기할 수 있을까. 왕따 문제를 최소화시키려면 아이들과 어른들 그리고 학교 이렇게 삼박자가 맞아야만 한다고 본다. 어느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노력해서 해결되는 시기는 이미 지나갔다. 이런 문제들이 불거져 나올 때마다 이 말을 생각하면 어떨까. 역지사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