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 코끼리
스에요시 아키코 지음, 양경미.이화순 옮김, 정효찬 그림 / 이가서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대개 책을 고를 때는(특히 어린이책이라면 더욱더) 출판사 이름에 의지를 많이 한다. 물론 출판사 이름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히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이 책은 출판사 이름이 생소하다. 뭐... 내가 잘 모르는 출판사라고 해서 어린이책 분야에서 유명하지 않다는 등식이 성립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 바닥에서 꽤 오래 책들을 접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안다고 생각했기에 더욱 그런 생각이 들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나서는... 나의 편협함과 좁은 시야를 탓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좋은 책을 모르고 지나칠 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하니 마음이 초조해진다. 앞으로 할 일이 하나 더 늘어난 셈이다. 여기 이 출판사 책도 눈여겨 보아야 하는 일 말이다.

딸 아이는 책을 고를 때 주로 표지와 제목을 보고 고른다. 그런 기준으로 본다면 이 책은 무사통과다. 잔잔한 그림과 단색으로 표현된 멋진 나무가 있고 작고 노란 차가 그려져 있으니... 게다가 나뭇잎은 점점이 노란 색으로 칠해져 있어서 황량한 듯하면서도 어딘가 가라앉는 분위기를 연출한다. 처음에는 그저 그림을 건성으로 보고 무작정 글자만 읽기 시작했다. 이래서 어른들은 생각의 폭이 좁은가보다. 아이들은 그림과 글을 골고루 보던데... 나중에서야 노란 코끼리가 표지에 있던 노란 자동차임을 알았다. 만약 아이에게 표지만 보여주고 노란 코끼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물어본다면 금방 대답하지 않을까싶다.

책을 읽는 내내 나로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아이는 이름이 뭘까 궁금했다. 그리고 왜 아빠가 없을까도... 사실 이름이 무엇인지는 이 책에서 그리 중요한 것도 아닌데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 그냥 당연히 누구를 알면 그 사람의 이름을 알아야 한다는 강박관념 때문이었을까. 전 페이지를 통틀어 주인공 이름은 딱 한 번 나온다. 히로시. 간혹 예명은 나오지만 본명이 나온 것은 그것이 다였다. 히로시는 11살 남자아이다. 국어 시간에 배운대로 하자면 이 책은 1인칭 주인공 시점이다. 물론 주인공은 히로시라고 해도 단독 주연이라고 하기보다는 세 식구가 비슷한 무게감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되겠다. 아니... 나나는 좀 가벼운가. 여하튼 히로시의 능청스런 독백과 서술이 이 책을 읽는 또 다른 묘미라고 하겠다. 너무 어른스러워서 거부감이 이는 것도 아니고 너무 어려 보여서 유치하지도 않은, 그야말로 약간 애늙은이 같으면서도 역시 애는 애구나라는 생각이 들게 하는 그런 서술은 읽는 내내 웃음을 머금게 만들었다.

이제 막 사춘기에 접어 든 히로시가 보기에 엄마는 보호해야 할 철부지다. 때로는 엄마에게 화 내고 정곡을 찌르기도 하고 반항도 하지만 그래도 피는 물보다 진하다고 했던가... 결정적인 순간에는 엄마에게 의지하고 엄마를 걱정한다. 아빠에게 다른 여자가 생겨서 집을 나간 후로 세 식구는 방황하기도 하고 힘들기도 하지만 그래도 꿋꿋이 살아가는 법을 터득한다. 아이들이 읽는다면 주인공에 자신을 대입해서 성장소설로 읽겠지만 어른이면서 여자인 사람들이 읽는다면 당당하게 사회로 다시 진출하는 가슴 뿌듯한 이야기로 읽게 되지 않을까. 히로시 엄마에게 노란 코끼리라고 이름 붙여진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은 단순히 운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적응하고 융화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어찌할 바를 모르고 주위에 신경도 제대로 쓰지 못하고 남에게 폐만 끼치다가 나중에는 수월하게 옆도 보고 그럭저럭 어울려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히로시는 큰다는 것이 좋기도 하지만 그에 따른 책임도 많아지고 어려운 일도 많아진다는 것을 자신의 감정 변화로 독자에게 잘 전달한다. 물론 작가가 잘 전달한다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겠지만 왠지 난 히로시가 직접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비록 성별은 다르지만 그 또래의 아이를 키우기 때문일까. 노란 코끼리는 비록 폐차를 하게 되었지만 히로시 가족은 그로 인해 희망을 가지게 되었고 자신들에게 내재된 힘을 보았을 것이다. 노란색은 많은 책이나 영화에서 희망을 상징하듯 이 책에서도 그런 이유로 노란색을 선택한 것은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