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닮은 그릇, 도자기 보림한국미술관 13
방병선 지음 / 보림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얼마 전에 한국미술관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나온 다른 책을 보고 그만... 입을 다물지 못했었다. 사실 그동안 서양의 그림에 관한 책은 많이 보았지만 우리 그림이나 민화 등에 관한 책은 너무 중구난방이라서 어느 것을 어떻게 보아야할지 몰랐기 때문이다. 설령 그러한 것을 담고 있더라도 들어가 있는 그림이 너무 적거나 설명이 너무 빈약하곤 해서 썩 마음에 든 적이 없었다. 그런데... 이 책은 정말 마음에 든다. 요즘 어떤 책에 대해서 이렇게 탐을 내 본 적이 있던가 싶을 정도로 좋았던 책이다.

무엇보다 머리글에서 '그릇은 사람입니다.'라는 말이 마음에 와 닿았다. 실은 책을 읽기 전에는 뭐... 사람이 살면서 그릇을 사용하니까 당연하지 정도로 생각했는데 책을 한 장 한 장 읽어 갈수록 그 말이 무슨 뜻인지 느낌으로 와 닿았다. 그야말로 머릿속이 환해지는 느낌이랄까. 그릇은 단순히 저장하고 담는 용도로만 쓰인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문화와 생활 모습과 생각까지 모두 담고 있었던 것이다. 어찌 생각하면 당연한 것인데 왜 지금까지 '깨닫지' 못 했을까 참으로 안타까울 뿐이다. 그나마 이제라도 깨달았으니 다행이라고 생각할 따름이다.

상식으로 고려 시대에는 청자가 유행했고 조선시대에는 백자가 유행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냥 알고 있을 뿐이다. 그것이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그 아름다움을 보는 방법은 어떤 것인지는 나와 별 상관없는 것처럼... 아니 어떻게 해야 그것을 이해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지 않고 그저 박물관에 가면 휘 둘러보는 수준이었다. 그저 청자 앞에서는 색이 참 예쁘다며 감탄을 하고 백자 앞에서는 소박하구나를 느끼는 정도였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 시대의 삶을 바라볼 수 있었다. 무늬 하나 하나가 문화의 발전 정도를 나타내고 시대적 상황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단순한 동그라미가 그려진 것으로만 보았던 삼국 시대의 토기가 실은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을 알고 보았을 때의 토기는 이미 아무것도 모르고 보았을 때의 그 토기가 아니었다. 그래... 경주박물관에서 보았을 때는 그냥 토기일 뿐이었다. 그러나 만약 다음에 가서 본다면 그 때는 아주 다른 의미로 다가오겠지.

이와 같은 책을 먼저 보고 박물관에 간다면 거기에 있는 유물들이 다르게 보일 것이다. 알고 보는 것과 모르고 보는 것이 다르다는 것은 이미 여러 경험을 통해 알았으니까... 그야말로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로 밖에 설명할 길이 없다. 지금까지 박물관에서 보며 그저 예쁘다, 멋지다 등으로만 보았던 그릇들이 이제애 제대로 보이기 시작했다. 이 책은 처음부터 꼼꼼이 들여다보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시대별로 보아도 되고 관심있는 곳만 보아도 되고 박물관을 가기로 했다면 해당 박물관에 있는 유물들에 대한 것만 보아도 된다. 앞으로는 박물관에 갈 때 이 책을 보고 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