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는 글을 쓰면서 가끔, 아주 가끔 자신의 글에 감탄하곤 한다. 어떻게 내 머릿속에서 이런 문장이 나왔을까, 하는 생각이 들 때 그렇다. 예전엔 아무리 글을 써도 글이 나아지지 않아서 절필을 할까, 하는 생각도 했다. 물론 절필을 한다고 해서 누가 눈 하나 깜작하지 않겠지만.

 

 

 

그만큼 글에 자신이 없던 시절이 있었다. 그런데 글이란 게 쓰면 쓸수록 발전하는 모양이다. 십 년 넘게 블로그에 글을 써 왔더니 어느 날부터 그녀의 글에 추천을 눌러 주는 사람들이 하나둘씩 생겨났다. 그리하여 어떤 글에는 ‘추천 수 10’이 넘는 글도 있었다. 왜 이 글이 추천 수가 높을까, 생각하며 다시 글을 읽어 보니 자신이 보기에도 잘 썼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가 그녀가 골똘히 생각한 것은 이것이다.

 

 

 

‘왜 나보다 나의 글이 더 나을까.’

 

 

 

이 말은 ‘왜 나의 수준보다 나의 글 수준이 더 높을까.’라는 말과 같다. 글을 쓰고 나면 자신의 글 수준이 높은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거였다. 다시 말해 글을 쓰지 않았다면 이르지 못할 어떤 수준에 그 글은 가 있는 것 같았다. 이상하고 신기했다.

 

 

 

혹시 밀란 쿤데라의 말이 그걸 말하고 있는 것일지 모르겠다고 그녀는 생각했다.

 

 

 

 

 

제 생각에는 소설가보다 위대한 것은 소설인 것 같습니다. 소설은 소설가의 편견까지도 극복하게 해 준다고 말할 수 있어요. 소설을 쓰기 전에는 이해할 수 없었던 문제를 소설가는 소설을 쓰면서야 비로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헤르만 브로흐라는, 제가 좋아하는 소설가는 “소설이 열어 주는 세계관”이라고 표현했지요. 『안나 카레니나』를 집필하던 당시의 톨스토이가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 박성창 외 저, <밀란 쿤데라 읽기>, 92쪽.

 

 

 

 

‘소설가보다 위대한 것은 소설이다.’

 

 

 

그녀는 이 말을 이렇게 바꾸어 봤다.

 

 

 

‘나보다 위대한 것은 나의 글이다.’

 

 

 

자신보다 자신의 글이 위대한 이유는 이런 게 아닐까. 글을 쓰면서 생각의 폭이 넓어지고 깊어져서, 글을 쓰기 전에 몰랐던 어떤 것들을 글을 쓰면서 알게 되기 때문.

 

 

 

그녀는 여기까지 생각했다. 그리고 만약 그녀의 생각이 맞는다면 ‘글 쓰는 시간’이란 다름 아닌 ‘공부를 하는 시간’이라고 할 수 있겠다고 결론을 내렸다.

 

 

 

 

 

 

 

 

 

 

 

 

 

 

 

 

 

 

 

 

 

 

................................................

여기서 ‘그녀’는 제가 아닙니다...

다음엔 (3)번을 쓰겠습니다...

 

 

 

 

 

 

 

 


댓글(9) 먼댓글(1)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자기 자신의 글에 대하여...... (몽테뉴의 생각)
    from Value Investing 2013-12-21 00:29 
    pek님의 흥미로운 글을 읽으니 저는 몽테뉴가 '자신의 글'에 대해 말했던 아주 재미있는 말부터 떠오르네요. 그는 "내 작품은 내게 기쁨을 주기에는 너무나 모자라서 다시 음미해 볼수록 더욱 화만 치민다."고 너스레를 떨었었지요. pek님의 이 글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만한 아주 많은 글들이 몽테뉴의 책 속에도 담겨 있었던 것 같아요. 제가 그 가운데 몇몇 글들을 대충 빠르게 골라서 먼댓글로 써볼까 싶네요. * * *운에 매이는 수가 많다나는 의술뿐 아니
 
 
2013-12-21 03: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21 17: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노이에자이트 2013-12-21 15: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진 글을 쓴 사람도 직접 만나보면 성질이 더러운 경우가 드물지 않습니다.그래서 어떤 책을 읽고 감명을 받으면 그 저자를 직접 만나지 않는 게 좋습니다.저술가는 연예인보다 팬을 대하는 태도가 더 서툴고 팬을 가르치려는 자세가 강한 경우가 많습니다.저는 그런 이들의 팬사인회에 가느니 걸그룹들 팬사인회에 가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페크pek0501 2013-12-21 18:01   좋아요 0 | URL
현명한 생각을 하셨습니다.
작가란 책으로만 만나야 좋죠.
글을 잘 쓰는데, 말을 잘 못하는 작가도 많답니다.ㅋㅋ


페크pek0501 2013-12-21 17: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렌 님께 답변하는 저의 댓글>입니다.


오렌 님. 먼댓글에 감사드립니다. 이런 것 해 주시는 분은 오렌 님밖에 없군요. ㅋ

언젠가 제가 이런 말을 페이퍼에 넣어 올린 적이 있어요.
“자기 작품에 만족하는 예술가는 싸구려 예술가뿐이다.”
누가 한 말인지는 기억이 나질 않네요. 그 페이퍼에 써 있을 텐데... 찾질 못하겠어요.
밀란 쿤데라가 만약 작가는 자기 글에 만족할 수 없다, 라고 썼다면 저는 이 페이퍼를
쓰지 않았을 거예요. 당연한 말이니까요. 당연한 것을 제가 써서 재방송할 필요가 있겠습니까.

그런데 밀란 쿤데라가 한 말은 획기적인 말로 느껴졌어요. 누군가가 한 적이 없는,
처음 듣는 말 같았거든요. 마치 보석을 발견한 기분이었죠.
그래서 이 페이퍼를 쓰게 됐죠.
제가 일부 동의하는 까닭은, 제 글의 수준보다 제 수준이 낮다고 느낄 때가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쿤데라의 말이 맞을 수 있겠구나, 생각했어요. ㅋ

다음에 기회 있으면 이에 대해 더 고찰한 글을 써 보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oren 2013-12-23 14:53   좋아요 0 | URL
제가 먼댓글로 쓴 내용에도 담겨 있지만 몽테뉴는 작가와 작품과의 관계를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에 비유한 적이 많은 듯해요. 그래서 저도 제가 만들어낸 온갖 허섭한 글들을 보면서 그때마다 이리저리 생각이 달라지면서 제 멋대로 평가하는 걸 보면 확실히 제 자식을 보는 심정과 무척이나 닮았다는 생각이 들긴 하더라구요.

대개의 경우, 누구라도 제 자식을 부모가 '못난 자식'이라고 나무라기 보다는 '이쁜 내자식'이라고 여길 때가 훨씬 더 많겠지요. 그렇더라도 내가 쓴 글 속에서 발견되는 흠이나 부끄러운 모습들을 발견하게 되면 꼭 내 자식의 못난 모습들을 볼 때처럼 화가 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지요.

그리고 가끔씩 (페크님의 말씀대로) 자신의 작품이 자신을 훨씬 더 뛰어넘는 경우가 있듯이, 자식들도 부모를 훨씬 뛰어넘는 경우를 자주 보는 것도 역시 이상할 게 전혀 없는 일이지요.

페크pek0501 2013-12-24 08:41   좋아요 0 | URL
글이 자식 같다는 것, 공감합니다.
그래서 미완성인 후진 글도 함부로 삭제하지 못하고 노트북에 저장해 놓게 돼요.
예쁜 자식이 있고 (맘에 들지 않아 화나게 하는) 미운 자식이 있겠죠. ^^

2013-12-22 19: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23 13:5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