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론> 만족하는 삶이 좋을까


똑같은 조건에서도 각기 다른 얼굴로 사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누구는 행복할 것 같은 좋은 조건 속에서도 불만이 많고, 누구는 불행할 것 같은 나쁜 조건 속에서도 즐겁게 사는 모습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뭘까. 행복감이란 주관적인 느낌인 까닭이겠다.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란 책에는 이런 이야기가 있다.


1984년 어느 날 아침, 나는 샌프란시스코에서의 점심 약속 때문에 다리를 건너기 위해 통행료 징수대 중 하나로 차를 몰고 다가갔다. 그때 내 귀에 큰 음악 소리가 들렸다. (중략) 나는 통행료 징수대를 쳐다보았다. 그런데 그 안에서 한 남자가 춤을 추고 있었다. 내가 물었다. “지금 뭘 하고 있는 거요?” 그가 말했다. “난 지금 파티를 열고 있소.” -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중에서.



통행료 징수대에서 일하는 그는 자신의 일에 불만이 전혀 없다. 그의 말에 의하면 그는 ‘사방이 유리로 되어 있는, 혼자만 쓸 수 있는 사무실’을 가지고 있고 주위의 아름다운 산들을 볼 수 있고 월급까지 받으며 음악을 들으며 춤을 추며 근무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보기엔 답답하고 지루할 것 같은 ‘통행료 징수대’ 안에서 그는 자신의 직업에 만족하며 즐겁게 일하는 것이다. 행복이란 바로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것이므로 가능한 일이다.


이에 반론을 제기하다


그런데 그렇게 통행료 징수대에서 일하는 그처럼 자신의 삶에 만족하기만 하고 삶의 향상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인생을 사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그런 사람들로만 꽉 찬다면 세상은 어떻게 될까. 만약 모든 사람들이 욕심 없이 그저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행복해 한다면 오히려 좋은 세상이 되는 것과 거리가 멀 듯하다. 객관적으로 보기에 더 나은 직업을 찾기 위해, 또는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성적이 나쁜 학생이 좋은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는 노력을 해야 하는 것처럼 말이다.


바람직한 인간상은 현재의 삶에 만족하지 않고 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사는 모습이 아닐까 한다.


반론에 반론을 제기하다


그렇다고 모두가 더 나은 직업을 갖기 위해, 또는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기 위해 노력을 멈추지 않는다면, 그 또한 문제가 될 듯하다. 그렇게 되면 힘든 일을 하는 직업을 가질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꼭 누군가는 통행료 징수대에서 근무해야 하지 않는가.


세상은 음양의 조화 속에서 유지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후기> 이 글을 쓴 동기

통행료 징수대에서 일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소개하였습니다. 이 이야기를 쓴 저자는 현재의 삶에 만족하며 즐겁게 사는 인생이 좋은 인생임을 말하고 있습니다. 저는 그것에 반론을 썼습니다.

통행료 징수대에서 근무하는 사람처럼 자신의 삶(직업이나 환경 등)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할 생각은 하지 않고 무조건 긍정적인 생각으로 자신의 삶을 미화시킴으로써 안주하는 태도가 옳은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어 이 글을 썼습니다.

우리가 지향해야 할 삶의 태도가 어떤 것인지 모를 때가 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아는 것이 많아지는 게 아니라 모르는 게 많아집니다.

작가의 임무는 어떤 문제의 해결에 있는 게 아니라 제기하는 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문제만 제기하고 문제에 대한 정답은 독자들 각자의 몫으로 남겨 둡니다. 
 

 .............................................................................................

 

 

 

<이 글과 관련한 책>

잭 캔필드ㆍ마크 빅터 한센 저,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페크pek0501 2010-06-26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저의 삶에 만족하며 사는 편입니다. 그래서 발전이 없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ㅋ

여러분은 어떠신지요?

글샘 2010-06-26 22: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잭 캔필드가 저 이야기를 읽고 감동을 받았을 때는, 저 사람이 평생 그 일만 하고 있을 거란 생각을 하진 않았을 거 같아요. 한국 사회는 직업에 대하여 지나치게 융통성이 없는 사회란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또 '지금 - 여기'서 열심히 하는 일이라면, 모든 일에 충실할 수 있기도 할 거란 생각이 듭니다.
그치만... 그게, 사회마다 다르고, 시대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는 건, 역사가 증명하고 있지요.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페크pek0501 2010-06-26 22:31   좋아요 0 | URL
아, 한 수 배웠습니다. 글쿤요. 종종 조언을 부탁 드립니다.

맞습니다. 그런 일을 즐겁게 성실하게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그런 훌륭한 자질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모든 일에 충실할 수 있죠.

진지리진 2010-08-04 18: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아- 아름다운 쌤~ 댓글 확인하러 왔다가... 요즘 다시 읽고 싶어졌던 책의 표지를 보고 급흥분해 또 글을 남깁니다. 요즘 시크릿,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영혼을 위한 닭고기 수프같은 책들이 그리워졌거든요~ ㅋㅋ 왠지.. 선생님 블로그엔 제가 접하지 못한 어려운(?) 책들만 있는 줄 알았는데.. 요걸보고 이리 반가울수가!^^
그나저나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3권이나 나와있네요~ 전 1권밖에 안 읽어봐서~
이 글의 제목은 지금 제 심중에도 뭔가 큰 울림을 주는 반문이네요~
'만족', '행복' 그리고 '내일' 저는 이렇게 세단어가 떠오르네요... 짧은 글이지만, 읽고 느낀건.. 글쎄요~ 모든 사람이 다 고개 끄덕이며 인정할만하고, 부러워하는 행복과 만족 그 때란 '보통' 사람에게 주어지기가 참 어렵기때문에 '소소한 일상에서 혼자만이라도 만족하는 즐거움을 지금 당장 찾으라'는 메시지가 아닐까 싶어요~ 그리고 이걸 느끼고, 찾아내기가 로또에 당첨되는 것만큼이나 어려울꺼란 슬픈 생각도 드네요~ 지금 제 상황에선.. ㅜㅜ
선생님 글과 말씀들은... 저한텐 가끔은 그래요~ 저만의 아픔을 톡 건드려 주는 것!!??
아픈데를 낫게하려고 병원을 가지도 않고, 약을 찾아 바르지도 않는데... 어떻게 선생님은 선생님만의 눈과 마음으로 아시곤... 톡 건드려주면, 그게 확 터지는거에요!! ㅋㅋ 끙끙 싸매고 있는 것보단 터트리고 피를 내게 해 알아 채게 하고, 낫게 해주시는 것... 그런 마음이 드네요~ 오늘 이 글도 그런 느낌이에요... 어디새 병원의 소독약 냄새가 코끝과 혀안쪽을 찌르는 것 같아요... 글이 이런 후각과 미각까지 불러낼 수 있다니... ㅋㅋ 점점 중독되는 것 같네요... 그게... 내가 나 자신에게 낸 상처를 다른 사람이 알아봐 주는 것, 그러지 말라는 것도 아니고, 탓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니가 지금 그렇다는 걸 알아봐 주는 것...저 지금 너무 더위 타네요.. ㅋㅋ낼뵈요!

페크pek0501 2010-08-05 1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쁜 진님, 글솜씨가 좋네요.
"글이 이런 후각과 미각까지 불러낼 수 있다니... ㅋㅋ 점점 중독되는 것 같네요..."
라는 말은 내 글에 대한 최대의 찬사 같군.ㅋ
(즐거운 착각질을 하겠습니다.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