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론> 키 작은 남자는 키 큰 여자를 원한다?




키 작은 남자는 키 큰 여자에 반한다. 키 큰 여자는 키 큰 남자에게 별반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키 작은 남자는 키 큰 여자를 통해서 자녀의 키에 대한 가능성을 조절하고, 키 큰 여자는 키 큰 남자를 피함으로써 자녀의 거인화를 미리 막으려는 것이다. - <사랑은 없다>, 41쪽.







모든 인간은 신체의 기형을 바로 잡아 균형을 맞추려는 잠재적인 눈높이를 갖고 있다. 그와 같은 현상은 비단 신체의 크기나 틀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성격에서도 나타난다.

이성은 누구나 자기와 반대되는, 혹은 자기에게 부족하다고 여기는 것을 상대방이 갖고 있기를 바란다. - <사랑은 없다>, 41쪽.





쇼펜하우어는 키 작은 사람이 키 큰 이성에게 끌리고, 키 큰 사람은 키 작은 사람을 선호한다면서 그 이유는 자녀의 키 조절에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누구나 자기와 반대되는, 혹은 자기에게 부족하다고 여기는 것을 상대방이 갖고 있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정말 그럴까. 사람은 자신에게 없는 점에 큰 가치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어서 자신에게 없는 점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 마음이 끌리는 경향이 있긴 하다. 가령 많이 배우지 못한 사람은 자신에게 없는 지성에 대해 큰 가치를 두기에 지성 있는 사람을 만나면 매료되기 쉬운 것이다. 그런데 지성적인 사람이라도 지성인에게 마음이 끌리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그가 그 점을 선호하기 때문일 뿐,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때문이 아니라고 본다.


부자와 빈자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빈자는 부자의 이성에게 끌리지만 대부분의 부자는 부자의 이성에게 끌리지 않는 건 이미 자신이 갖춘 것에 대해선 큰 가치를 두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부자가 멋있어 보이는 건 자신이 가난한 경우에 한해서다. 그러나 부자도 부자를 좋아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그 자신이 금전을 매우 중요시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것이 자녀에게 미칠 영향 때문이라고 볼 수는 없다.


키가 작은 남자가 언젠가 태어날 자식도 자신을 닮아 키가 작을까 봐 이왕이면 키 큰 여자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이해할 수 있지만, 키의 조건이 이성을 사랑할 수 있는 절대적 조건이라고 여겨지진 않는다. 둘 다 키가 작은 부부들과 둘 다 키가 큰 부부들이 있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이성에게 마음이 끌리는 것은 둘 중의 하나일 가능성이 많다. 하나는 동질성이고 또 하나는 이질성이다. 어느 부분이 나와 같거나 다를 때 상대를 사랑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쇼펜하우어는 사람이 사랑에 빠지는 것을 상대에게서 발견되는 이질성 때문이라고만 보았다. 그렇다면 어떤 성향이 같은 사람들이 서로 사랑에 빠지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실제로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그런 같은 취향으로 마음이 통해 연애를 시작하는 연인들이 있지 않은가. 아마 쇼펜하우어가 살아 있다면 이에 대해 이렇게 답했을지 모른다. ‘찾아보면 다른 점이 하나라도 있었겠지’라고.


...............................................................................................


<후기>

나는 요즘 나의 생각과 같은 글보단 다른 생각의 글을 읽으려 한다. 읽어야 할 책이 많고 바쁜 삶을 사는 세상에서,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이의 글을 읽는다는 건 한마디로 시간낭비다. 그런 점에서 쇼펜하우어를 좋아한다.


나와 다른 견해를 가진 이의 글을 읽을 때 내가 놓친 다른 진실을 깨달을 수 있고 나의 고정관념을 깰 수 있으며 그리하여 ‘균형적인 사고’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좋은 책은 독자를 변화시키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과 관련한 책 : 쇼펜하우어 저, <사랑은 없다>






댓글(2)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컴추루 2011-07-17 0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부지런한 은경씨 삶을 심오하게 살 정도의 여유만 있었더라면 ㅎ 난 삶과 투쟁하느라 바쁘다오~

페크pek0501 2011-07-17 12:52   좋아요 0 | URL
이 글을 보는 순간, 아주 '짠' 했습니다. 마치 총 맞은 것처럼...

덜 투쟁해도 되도록 기도하겠습니다.

그런데 그거 아세요? 대상은 각기 달라도 누구나 투쟁하며 산다는 것을. 투쟁하며 지지 않기 위해 애쓴다는 것을. 그런데 바로 그 애씀이 우리 삶의 원천이라는 것을. 그것이 없으면 죽은 삶이라는 것을.

제가 오늘 (아마도 제 기분이) 컴추루님이 의도하지 않은 메시지까지 읽은 것 같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