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거운 후기> ‘직업과 사랑의 공통점’을 쓰고 나서



나폴레옹은 청년 시절에 괴테 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란 소설을 대단히 애독하여 전쟁터에까지 가지고 다녔다고 하며, 이 소설을 무려 일곱 번이나 읽었다고 한다.


이것을 어느 책에서 읽고 이 소설을 다시 펼쳐보게 된 게 내 나이 삼십대 중반일 때였다. 이미 내가 대학생이었던 시절에 시시하게 읽은 것이라서 다시 읽을 생각이 없었는데, 나폴레옹이 일곱 번이나 읽었다는 그 사실이 나로 하여금 이 소설을 다시 읽게 만든 것이다. 그리하여 두 번째로 읽었을 때 이 작품이 명작인 이유를 비로소 알게 되었으니 다시 읽기를 참 잘 했다는 생각이다.


서간체 소설 형식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이 작품을 쓴 괴테 자신이 젊었을 때 실제로 체험한 절망적인 사랑의 경험과, 그리고 불행한 연애 때문에 자살한 친구의 파멸을 소재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니까 실제로 있었던 일을 바탕으로 쓴 작품인 것이다.


베르테르가 우연히 만난 로테에게서 사랑을 느끼고 죽음에 이르는 마음의 병까지 앓게 되었다는 점을 눈여겨볼 때 ‘우연’은 우리의 삶을 크게 좌우한다는 생각이 든다. 만약 베르테르가 로테를 만나지 않았더라면 그는 ‘자살하는 인생’이 아닌, 많이 다른 인생을 살았을 것이다.


그렇게 볼 때 우리는 이 ‘우연’이란 존재를 두려워해야 하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우연’이 베르테르에게서 보듯이 불행한 길로 우리를 인도할지도 모르니까.


‘우연’은 누구에겐 행운을 주고 누구에겐 불운을 준다. 나는 불운을 주는 ‘우연’이란 놈이 내 삶에 끼어들까 봐, 그래서 내가 가고자 했던 길이 아닌, 엉뚱한 불행한 길로 나를 데려다 놓을까 봐, 두려움을 느낄 때가 있다.


이 소설이 당시 사회에 끼친 영향은 대단해서 베르테르와 로테의 로맨스는 부채나 도자기의 도안의 소재가 되기도 했으며, 베르테르가 입었던 푸른 저고리와 노란 조끼와 바지가 유행하기도 했단다. 또 베르테르를 예찬한 나머지 이혼이 증가하고 자살자가 속출했다고 한다.


이런 시대의 분위기의 영향으로 자살한 사람이 있었다면, 그 사람 역시 ‘우연’의 희생자가 아닐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박칠근 2010-05-03 17: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봄인가 싶더니 어느새 여름으로 치닫네요.
늘 건필, 건강하세요

페크pek0501 2010-05-04 15:29   좋아요 0 | URL
박선생님, 고맙습니다. 오랜만이네요,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