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쿠시카는 『레프 톨스토이, <무도회가 끝난 뒤>, 펭귄클래식 출판』에 수록되어 있는 소설이다.
이 소설을 읽기 전에 알아 두어야 할 사항이 있다.
* 참고 사항 : 옮긴이 주(367쪽)에 따르면 ‘강제 징집’은 제정러시아의 주요 징병 제도로서, 영지 주인에게는 아무나 징집에서 면제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지만 그 대신 대리병을 찾거나 엄청난 돈을 지불해야 했다고 한다. 군에 징집되면 20년 또는 그 이상 복무해야 했는데 살아 돌아오는 자가 거의 없었다고 한다.
1. 줄거리
‘포크롭스코예’라는 마을에서는 세 명의 남자가 강제 징집 당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셋 중 두 명은 이미 정해진 것이나 마찬가지였으나 한 명을 누구로 정할 것인가로 의견이 분분했다. 영지 관리인은 집안 농노인 폴리쿠시카(폴리케이)를 보내고 싶어 했다. 아내와 아이들이 있는 폴리쿠시카는 평판이 좋지 않은 데다 곡물 같은 것을 훔치다 들킨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하지만 강제 징집의 대상을 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여주인(주인마님)은 그를 신병으로 내줄 생각이 전혀 없었다. 여주인은 폴리쿠시카의 아이들을 볼 때마다 귀여워했고 더구나 폴리쿠시카의 나쁜 행실을 성경의 가르침으로 바로잡겠다고 단단히 벼르고 있었다.
폴리쿠시카는 대다수 사람들이 훌륭한 장인이라고 인정하는, 말을 돌보는 수의사다. 그는 다른 마을의 종마 사육장에서 자랐는데 그 일대에서 제일가는 도둑인 말 사육사 밑에서 자라며 도둑질을 배웠다. 원래 선량한 사람인데 어느새 훔치는 일에 익숙한 젊은이가 되어 있었다. 시간이 흐르자 도둑질에서 그만 손을 떼고 싶었지만 술을 좋아하고 의지가 약해서 마음처럼 되지 않았다. 사람들은 그를 도둑놈 보듯 했고 강제 징집 시기가 돌아오자 일제히 그를 지목했다.
이런 폴리쿠시카에게 여주인은 심부름을 시킨다. 먼 길을 떠나 상인(정원사)에게 가서 큰돈을 받아 오라는 심부름이었다. 폴리쿠시카는 매우 가난했지만 심부름으로 받아 올 큰돈에 욕심을 갖지 않았고 심부름을 맡게 되어 행복한 마음이 되었다. 큰돈을 받아 술을 마시지 않고 무사히 와서 주인마님에게 전해 주면 주인마님의 신뢰를 받을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고, 자기에 대한 사람들의 나쁜 평판이 달라지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폴리쿠시카는 주인마님이 직접 타고 다니기도 하는 바라반(말)이 끄는 짐마차를 타고 심부름을 하러 떠났다. 마침내 그는 정원사로부터 거금이 들어 있는 봉투를 받아 안전하게 품에 넣고는 선술집도 술 판매점의 유혹도 모두 이겨 내고, 자신의 손에 들어온 돈이 거금이라는 사실에 어린애 같은 만족감을 느꼈다. 이제 거금을 주인마님에게 전해 주는 일만 남았다. 거금을 주인마님에게 전해 주고 나서 주인마님에게 받을 치하의 말과 심부름 값 5루블과 기뻐하는 가족의 얼굴을 떠올리며 한껏 꿈에 부풀었다.
폴리쿠시카는 모자 안으로 돈 봉투를 넣어 모자를 쓰고 짐마차를 몰며 집으로 향했다. 모자 안에 넣은 돈 봉투를 잃어버릴까 봐 모자를 벗어 돈을 만져 보기도 했다. 어서 빨리 집으로 가고 싶었다. 서서히 날이 밝아 왔고 밤새 한숨도 이루지 못한 폴리쿠시카는 졸기 시작했다. 졸면서 짐마차의 횡목에 머리를 부딪치기 시작했다. 그는 집에 다 와서야 잠이 깼다. 잠이 깨자마자 얼른 모자를 움켜쥐었다. 그는 돈 봉투가 모자 안에 있으리라 굳게 믿으며 모자를 벗지 않았다. 그런데 집까지 100걸음 정도 남겨 두었을 즈음 폴리쿠시카는 느긋하게 모자 안감으로 손을 집어넣었다. 돈 봉투가 없었다. 그의 얼굴에서 핏기가 점점 사라졌다. 그는 말을 세워놓고 돈 봉투를 찾아보았다. 돈은 어디에도 없었다. “세상에! 이게 도대체 어찌 된 일이지? 아, 이제 이 일을 어째!” 그는 머리를 쥐어뜯으며 울부짖었다.
그러는 동안 주인마님은 폴리쿠시카를 애타게 기다렸다. 그러나 폴리쿠시카는 돌아오지 않았다. 심부름으로 받은 돈을 잃어 버린 폴리쿠시카는 스스로 목매달아 죽는다.(평판이 나쁜 폴리쿠시카였기에 돈을 잃어 버렸다고 말을 해도 아무도 믿지 않을 것 같아 절망감에 빠져 자살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의 시신은 다락방에서 발견되었다. 폴리쿠시카의 아내는 아기를 씻기다가 이상한 낌새를 눈치채고 손에서 아기를 떨어뜨리고 남편의 시신이 있는 그곳으로 달려 나간다. 그때 아기의 머리가 물속에 빠져 죽게 된다. 그리하여 폴리쿠시카의 아내는 남편과 아기를 같은 날에 잃게 되었다.
한편 강제 징집 대상이 된 일리야(일류시카)는 큰아버지 두틀로프가 돈을 내고 자신이 강제 징집 당하는 걸 막을 수 있는데도 돈이 아까워 그렇게 해 주지 않는 거라고 원망한다. 두틀로프는 그런 조카에게 연민을 느낀다.
두틀로프는 폴리쿠시카가 잃어버린 돈을 가지고 주인마님을 찾아온다. 두틀로프는 조카 녀석을 신병으로 데려다주고 돌아오는 길에 그 돈을 발견한 것이라며 폴리쿠시카가 모르고 떨어뜨린 게 틀림없다고 말한다. 주인마님은 그 돈 때문에 폴리쿠시카가 죽었으므로 불길한 돈으로 여겨 돈도 반갑지 않고 두틀로프의 방문도 반갑지 않다. 주인마님은 두틀로프에게 그 돈을 가져도 좋다고 말한다. 그래서 주인마님의 허락 하에 그 거액의 돈은 두틀로프가 갖게 된다. 결국 이 돈으로 조카 일류시카가 강제 징집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으니 조카인 일류시카와 그의 가족과 두틀로프는 그 돈 덕분에 불행을 피할 수 있었다. 이들이 불행을 피하게 되어 기쁨에 들떠 있는 동안 다른 한쪽에서는 욕을 퍼부으며 얼굴이 분노로 이글거리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두틀로프가 조카인 일류시카 대신 신병으로 보내기 위해 거금을 지불하고 산 지원병인 알료하였다.
이 소설의 결말은 다음과 같다.
폴리쿠시카는 죽었고, 징병을 피하게 된 일류시카와 그의 가족은 기쁨에 들떠 노래를 불렀으며, 징병 대상자가 된 알료하는 불행한 사람이 되어 분노하였다.
2. 인상적인 문장
“많은 문제가 돈에서 생겨난다는 건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133쪽)
“누구한테는 (돈이) 재앙인데 누구한테는 복이라니, 원.”(160쪽)
“죄 짓지 마시오.” 주인 손에 선금을 쥐어 주며 두틀로프가 말했다. “결국 사람은 모두 죽는단 말이오.”(176쪽)
이 책에 수록되어 있는 네 편의 소설 모두 흥미롭게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