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라는 테두리가 덧입혀진 상태에서, 정치가 이야기되는 자리는 불편하기 그지없다. 더욱이 신실하다는 지표가 둘러진 가족 상황, 그리고 그 상황을 오랫동안 유지하면서도, '침묵'이나 '정치 이야기의 자제'로 내 소신을 드러내지 않을 때의 그 불편함은, 29년 째 교회에 다니는 나에겐 늘 족쇄다.  

그러다, 매주 일요일에 예배를 볼 때,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한국 사회를 비판하는 목사의 설교를 들으면, (기독교인들에게 정말 미안한 말이지만), 설교를 중단하게끔 소리를 지르고 싶을 때가 많다.  

세상의 때를 지우라면서, 어찌나 그 입에서 세상의 때가 가장 많은 인물을 옹호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인물이 좌지우지하는 세상이 그나마 행복하지 않냐고 과신할 수 있는지. 그러면서 그 말 하나,하나에 아멘하고 화답하는 이들은 누구인지.  

그 목사의 손을 잡아보고, 인사나누고자 줄을 서서 기다리는 신도들을 빗겨나가, 투덜투덜거리며 휭하니 내 갈 길을 가는 것. 그것만이 아직 내가 그 목사에게 대응하는 소심한 방식이다.  

며칠 전, 어머니랑 밥을 먹다가, 대학원과 사이가 안 좋고, 비용 문제로 나름의 투쟁을 하고 있다 밝히니, '그건 마귀짓이니 얼른 중단해라'고 말할 때, 어머님에게 미안하게도 그 목사의 얼굴이 떠올랐다. 

식당 속 사람들이 다 보는 앞에서, 내 앞에 놓여진 고기를 정성스레 잘라주시는 직원 분 앞에서 "어머니, 정신 차리세요"하고 고함치고 싶었지만, 어머니의 핏기 없는 얼굴을 보고 이내 마음이 사라졌다.  (어머니는 나름의 평화주의자다. 당신은 '비판'이란 말이 주는 위험때문에, 내가 공부하는 이유를 '사회 비판'이 아닌, '사회 분석'으로 말하라고 늘 교육시키신다.)

고기가 타고, 구운 마늘은 형체를 알아볼 수가 없다. 매운 고추만 찾는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0-05-28 04: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댓글 다는 데 서툴기도 하고 숫기도 없어서 자제하는 편인데
비슷한 시간에 늘 깨어 계시니 무슨 교신하는 것 같기도 하고 해서
이렇게 또 자제하지 못하고 그만 댓글을 다는군요.
저는 종교가 없어서 이런 고민은 해보지 못했지만
집에서는 여느 집처럼 아버지와 의견이 달라 기분이 상할 때는 있죠.
서로 그런 얘기는 되도록 피하는 편이지만요.
제가 볼 땐 소심하신 게 아니라 상대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를 하시는 것 같네요.

얼그레이효과 2010-05-28 17:07   좋아요 0 | URL
따스하게 이해해주셔서 고맙습니다.

saint236 2010-05-28 06: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건 저도 마찬가집니다. 소위 말하는 모태신앙인데 성경의 가르침을 의심하던 단계를 지나 고민 끝에 참된 기독교인이 되고자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정말 존경스러운 목사님들인데 이상하게 정치 분야에서만큼은 아마추어처럼 모장로님을 두둔합니다. 불의와 맞서 싸우리는 말보다는 권위에 복종하라는 말로 모든 것을 덮어버리실 때는 제가 다 창피합니다. 전 잠실에 살고 있는데 잠실에서 진보신당을 지지하는 기독교인으로서 살아간다는 것 참 답답한 노릇입니다. 말 그대로 족쇄를 차고 있는 기분입니다.

얼그레이효과 2010-05-28 17:08   좋아요 0 | URL
저와 같은 동무 여기 한 분 있으시군요.힝..

비로그인 2010-05-28 09: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전 그 족쇄를 차기 싫어 맨날 도망다니고 있어요.
종교도 정치도...저에겐 참 요원한 것 같습니다.

혹시 태운 고기 드신건 아니져?ㅎㅎ

얼그레이효과 2010-05-28 17:08   좋아요 0 | URL
어쩌죠 돈 아까워서 두 점 먹었습니다.ㅡ.ㅡ

무해한모리군 2010-05-28 09: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는 어머니랑 십년째 논쟁중입니다만 이야기가 잘 되간다 싶다가도 목사가 한마디하면 훅 간다는 --;;

얼그레이효과 2010-05-28 17:08   좋아요 0 | URL
훅 간다는 표현에,,가슴이 아려오네요.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