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크리스 코넬이 죽었다고 했을 때 많은 이가 시애틀 그런지의 중추 4인방(너바나, 펄잼, 앨리스인체인스, 사운드가든/알다시피 코넬은 사운드가든의 간판보컬이었다)을 애도했다. 이는 단명했지만 짙은 인상을 남긴 90년대 하위문화 '슬래커slacker'에 대한 애도이기도 했다.


2. 우리가 이후 '너드nerd'라고 부르는 테크노 괴짜가 주목받고, 너드가 테크노 여피가 되어 실리콘 밸리에 '캘리포니아 이데올로기'( 자유주의와 기술결정론이 결합된 문화정치)를 꾀하기까지.


3. 돌아보면 슬래커는 보보스처럼 세계를 누비며 명망높은 글로벌한 문화적 보헤미안이 되지도 못했고, 《WIRED》가 주목하는 '어벙한 듯 생겼지만 머린 좋은 하이테크 일인창업가'의 삶도 누리지 못했다. (소수만이 두 경로를 택했다.)


4. 슬래커는 영화 매체의 역사에서 가장 기대를 많이 받았지만, 시장의 관점에선 일찍 생을 마감한 비디오의 운명과도 닮았다.


5.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낀 세대'였던 슬래커는 아날로그적 정서를 부여잡으려는 90년대식 낭만주의였고, 이를 따르는 젊은이들은 예민함을 신경쓰는 우회의 화법 대신 서로의 감각과 감정을 타격하는 직설과 헛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6. '슬래커 컬처'의 신봉자였던 리처드 링클레이터는 <슬래커>로, 케빈 스미스는 제이 앤 사일런트 밥 콤비로 대표되는 <점원들>로 90년대 미국 청년들의 루저덤(loserdom)을 지지했다. 마이크 마이어스의 <웨인즈 월드> , 빌과 테드로 대표되는 엑셀런트 어드벤처, 위노나 라이더와 벤 스틸러, 에단 호크가 남긴 소품인 <청춘 스케치>는 슬래커가 남긴 유산이 되었다.


7. 이 시기를 문화적 연원점으로 두고 있는 주드 애파토우 사단이 슬래커의 복원을 21세기식으로 이뤄냈지만, 사람들에겐 영화의 스타일로 다가올 뿐, 우리네 일상과 연계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진 못했다.


8. 예전에 대중음악웹진 <weiv>에 쓴 '라나 델 레이: 우울의 리더십과 명성문화'에서도 밝힌 바 있지만, 오늘날 이 사회는 인디라고 하는 특질이 어떻게 제도권에 포섭될지 가장 기민하게 알아차리는 감각을 내장한 개인들이 살고 있다.
아울러 나보다 뛰어나게 우울을 표하는 이를 보며 우울이 독창적이거나 주관적인 것이 아닌, '스펙으로서의 우울' '격차로서의 우울'이 되었음에 또 한 번 좌절하게 되었다.


9. 어찌 보면 주위를 아랑곳하지 않고 정념과 우울과 직설을 표출했던 슬래커의 짧은 삶은 돈 없고 빽 없지만 '우울'만큼으로는 서로 평등할 수 있었다는 희망과 기대가 사라졌음을 일찍이 예견한 사례였는지 모른다.


10. 이젠 아무도 하위문화를 연구하지 않는다.

슬래커이자 슬래커의 우상이었던 뮤지션 크리스 코넬을 이렇게 보낸다.

아쉽지만.


크리스 코넬 1964-201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슬래커세대 2019-05-20 1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90년대 슬랙커가 뭔지도 몰랐지만, 그 문화를 추구했던 젊은 시절을 보낸 엑스세대로서 정말 잘 정리된 글이라 생각합니다. 서구의 청춘스케치와 아시아의 중경삼림은 그 대표격인 영화들이었죠...

얼그레이효과 2020-02-28 16:20   좋아요 0 | URL
댓글 달아주셨는데, 서재 관리를 도통 못해 답글이 늦어 죄송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