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동아리에서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를 읽고 있다. 읽기 어렵다고 소문이 난 책답게 정말 읽기가 어렵다. ’율리시스‘가 어려운 건, 조이스가 어지럽게 펼쳐놓은 많은 상징과 실험에 대한 의미를 퍼즐 맞추듯 찾아야 한다는 데 있다. 영어원서로 읽는 것이 아닌, 단지 한글로 번역된 문장만으로는 바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무슨 말을 하는지 잘 모르겠다. 아마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작가 개인이 가진 배경과 함께 신화, 역사, 철학, 아일랜드의 현실이 뒤섞인 문장들을 모국어로 읽는다고 해서 바로 이해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영어와 고어를 사용한 언어유희는 쉽게 알아챌 수 있을 것 같다.
‘율리시스’는 책 자체를 읽어 나가는 건 그리 어렵지 않다. 조이스가 이 책에서 다양한 문체 실험을 하고, 워낙 에피소드가 많아 경쾌한 느낌이 들고 재미있는 부분도 많다. 책의 등장인물과 줄거리가 잘 설명되어 있고, 책 하단에 주석이 상세하게 달려있어 그것을 참고하면 된다. 개인적으로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보다는 ’율리시스‘가 더 읽기 쉬웠다.
제임스 조이스의 ‘의식의 흐름’은 특별하다. 생각의 흐름대로 써 내려갔다는 작가의 의식에는 엄청난 사유와 집요한 관찰이 존재한다. 그 방대한 지식들을 마음대로 꺼내 쓸 수 있다는 것이 놀랍다. 「율리시스」가 ‘인간 의식의 백과사전’이라 불리는 이유를 이 책에서 그대로 알 수 있다. 그러한 것을 인식하고 이해해야 하기에 어려울 수밖에 없지만 하나하나 알아가는 과정이 흥미롭고 재미있기도 하다. 텍스트 자체로는 잘 이해되지 않지만, 공부하듯 읽어나가는 독서도 나름 매력적이다.
동아리 회원들과 함께 책을 읽어나가니, 책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들을 수 있어 좋다. 율리시스에 대한 주석서가 많이 있지만, 김종건 교수의 ‘율리시즈 연구(硏究)’가 제일 도움이 된다는 그레이스님의 말을 들었다. 이 책은 가까운 도서관에서는 구할 수 없어 딸아이가 다니는 대학 도서관에 검색해보았다. 대학 도서관은 거의 모든 책이 구비되어 있으니 책도 빌리고 딸아이와 점심도 함께 먹기 위해 학교로 갔다. 소설을 읽으며 ‘연구(硏究)’라는 단어가 들어간 주석서를 읽다니, 우리들의 열성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율리시즈》가 담고 있는 성서의 내용과 사상, Homer의 오딧세이, Shakespeare의 햄릿을 비롯한 다른 작품들, Milton의 시, Thomas Aquinas의 신학, Aristotle의 철학, Dante의 신곡, Nietzsche의 철학, Goethe의 파우스트, Mozart의 돈 지오바니, Wagner의 오페라, 아일랜드의 민속과 음악, 카톨릭 종교의 지식, 신화의 전설, 유럽의 역사 등 그 예를 이루 다 들 수 없거니와, 이들 기존의 작품들은 그의 작품의 난해하고 다양한 소재의 바탕을 이룬다. 이러한 지식의 축적이 주인공들의 의식을 형성하는 바, 이는 조이스가 평소 동서고금의 문학, 철학, 역사, 신학, 예술 등의 고전에서 얻은 지식을 말해 준다. 율리시즈를 족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지식원(知識源)과 그 전거(典據)를 파악하는 것이 절대적이다. 여기 그의 작품을 가리켜, ‘인간 의식의 백과 사전(encyclopedia of human consciousness)'이라 부르는 이유가 있다.]
‘율리시즈 硏究’의 서장에 나오는 율리시스에 대한 전반적 소개이다. 조이스가 ‘율리시스’에 담고 있는 이 많은 것들로 무엇을 나타내고자 했는지는 아직까지 확실히 다가오지 않는다. 이 책에서 내가 어떤 것을 느껴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다. 주석서의 도움을 받아 여러 번 더 읽어야 조금은 알 수 있을 것 같다.
조이스의 어려운 책 덕분에 딸아이와 좋은 시간을 가졌다. 학교안의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며 책을 읽었다. ‘율리시스 硏究’라는 오래된 고전적인 책과 대학이라는 공간덕분에 내가 학교 다니던 시절이 잠시 떠오르기도 했다. 공부가 하기 싫을 때도 많았지만, ‘硏究’라는 글자가 들어간 제목의 책을 많이 읽을 수 있었던 시기에 대한 그리움도 있다. 대학 내 카페의 커피가 싸고 맛있어서 더 그런 생각을 한 것 같다. 현재 엄청 좋은 나이의 한가운데에 자신이 있다는 사실을 딸아이는 알고 있을까?
[시간은 그들에게 낙인을 찍어 그들을 구속했다. 그들이 파기한 무한한 가능성의 영역 안에 그들은 갇혀 있다. 그러한 가능성이 결코 실현되지 않았던 것을 보면, 그러한 일들은 과연 가능할 수 있었을까? 그렇지 않으면 일어난 일만이 유일한 가능이었던가? 파란을 일으키는 말들이여. 허풍을 다루는 자들이여. -‘율리시스 1, p.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