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 주변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말이 있다.
일명 삼식이^^
이 집에는 2명, 옆집에는 3명,
심지어 저 집에는4명도 있는,
통계적으로 집집마다 보통 1명 이상 분포되고 있고,
일반적으로
그들은 가족간의 갈등과 반목의 원인과 대상이 된다.
우리집 삼식이는 나의 딸아이이다.
밤낮이 바뀐 삶을 사느라 나와 식사시간이 전혀 맞지 않고, 언제나 꾀죄죄한 모습으로 집안을 배회한다.
우리는 싸우지 않기 위해 서로를 간섭하지 않고,
각자의 영역을 인정하며 자유롭게 살아보기로
암묵적 합의를 본 상태이다.
하루의 시작과 끝을 순환으로 반복하는 삶의 과정에서
그래도 같은 공간에서 살고 있기에, 우리는 오늘 점심을 함께 먹을 수 있는 사이클의 일치를 볼 수 있었다.
밥을 같이 먹으며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내가 철학에 대한 책을 읽어보고 싶다고 했다.
그러나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고,
읽어낼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고도 했다.
그렇게 말이 흘러흘러 오고 갔다.
식사 후 커피 마시며 책을 읽고 있는 나에게 딸아이는
노트 한 권을 내밀었다. 고등학교때 배운 ‘생활과 윤리‘ 과목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라고 했다. 혹시 철학 입문에 도움이 될 지 모르니 한번 읽어보라고 했다.
그러나 잘 정리된 딸아이의 노트에는 내가 원하는 것이 들어있지 않았다. 거기엔 사색과 토론과 논리가 없는
그저 수능을 위한 철학만이 있었다.
1문제 틀리면 3등급으로 밀려나고,
철학자의 이름과 그가 무엇을 주장했는지만 달달 외우고 시험이 끝나면 다 까먹어 버리는 그런 시험과목으로서만
존재하는 철학........오래전 내가 배운것과 별반 다르지 않은 우리나라의 교육.교육.교육.......
이런저런,
코로나, 교육현실, 우리들의 삼식이를 생각하면
마음이 무겁지만
그냥 오늘 밤은
엄마를 위해 살며시 노트를 내미는
딸아아의 예쁜 마음만을 간직하기로 하자.
[밑줄긋기]
어쩌면 철학이란 당신을 향해 자기 자신을 돌아보라고
애타게 말하고 있는 당신 내면의 목소리인지도 모릅니다.
시도하기 힘든 건 일단 자리에서 엉덩이를 떼는 일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