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연의 욕망과 맹점을 간파한 몰리에르의 유쾌한 희곡

- 《스카팽의 간계》

 

몰리에르 지음 | [디다스칼리] | (2024)

 

 


 

몰리에르의 희곡 《스카팽의 간계》을 읽고, 출판사에서 궁금해하는 몇 가지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고 답변을 정리해보았다.

 

 

 

 

1. [캐릭터 분석] 작품에서 가장 눈길이 가는 캐릭터는 누구였나요? 그 캐릭터는 작품에서 어떤 위치에 있고, 어떤 언어를 사용하며, 어떤 극적인 효과를 연출하고 있나요? 캐릭터의 생각과 나의 생각을 비교해볼 수도 있겠죠? 만약 단원님이 연출가/배우라면, 그 캐릭터를 무대 위에서 표현할 때 어떠한 점에 주안을 두어야 할까요?

 

 

 

단연 스카팽이 눈길이 가는 캐릭터이겠지만, 저는 한 사람 더 꼽으라면 제롱트를 떠올리게 됩니다. 제롱트는 레앙드르와 배다른 딸 이아생트의 아버지이기에, 연극을 이끌어가는 문제의 장본인들인 옥타브와 레앙드르가 친 사고에 어쩔 수 없이(혹은 운명적으로?) 엮이게 되는 인물입니다. 한편 스카팽의 속임수에 실컷 당하고 나중에 그 사실을 모두 알게 되지만, 마지막까지 한 번 더 스카팽의 손에 놀아나는 캐릭터이기도 하지요. 스카팽의 연기는 제롱트의 상대역이 잘 조응하여 맞장구를 치는 연기가 받쳐주지 않으면 그 재미와 힘을 잃을 것 같습니다. 제가 볼 땐 제롱트야말로 유머연기도 잘하는 노련한 배우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상한다면, 제롱트의 명대사 “도대체 망할 놈의 군함은 왜 탔어?” 한 마디에 관객의 마음을 모두 얻을 수 있을 만큼 명연기를 해내는 배우가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2. [무대 연출] 작품이 담고 있는 분위기와 사건을 무대 위에 담아내기 위해서는 어떤 무대가 적합할까요? 무대의 형식(원형, 프로시니엄 등)과 소도구, 장치, 의상, 배역의 동선 등 단원님이 생각하는 독창적인 무대를 이야기해 주세요.

 

 

 

연극의 각 장면이 빠른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같은 무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백이 많아 이 차이가 잘 구분되는 무대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제가 생각한 것은 회전하는 원형 무대에 케잌처럼 4등분 되어 있는 장치가 있으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혼자 말하는 방백이 있는 장면에서 근처에 있는 상대 인물이 듣지 못하는 상황이기에, 케잌처럼 가볍게 나뉘어 있는 무대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구분을 해주면 어떨까 생각해보기도 했습니다.

 

 

 

 

3. [사랑과 웃음] 희곡은 사건과 갈등의 표현이 두드러지는 예술입니다. 작품에서는 사랑을 주제로 두 연인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스카팽이라는 캐릭터가 등장하는데요, 사랑을 웃음으로 연결시키는 이 작품만의 특징 또는 매력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또 작품 속 사랑과 오늘날의 사랑은 어떤 점에서 같고 다를까요?

 

 

 

어떤 면에선 딸보다 아들을 더 중시하는 가부장적인 제도의 모순도 살짝 드러나는데요, 두 아버지들의 아들에 대한 사랑과 집착으로 ‘스카팽의 간계’에 여실히 이용되고, 돈까지 빼앗기기도 하지요. 그리고 심지어는 자루 속에 들어가서 하인의 몰매를 맞기도 하니 재미있습니다. 이런 부분은 우리 나라 전래 동화의 장면 같아서 친근함이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이 작품의 매력중의 매력은 마지막에 있습니다. 스카팽의 속임수가 모두 들통나버렸는데도 불구하고, 제롱트는 한 수 더 뜨고 있습니다. 우연히 유종의 미를 거두고 있는 분위기를 놓치지 않고, 자신의 죄를 사면 받을 수 있는 완벽한 기회를 만들어내거든요. 게다가 곧 죽을 것처럼 연기하면서도 주인의 저녁 식사 자리에 자신의 자리를 맡아 놓고야 마는 이 능청스러움과 집요한 생존본능을 보면 웃음짓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저는 이 마지막 장면이 정말 마음에 듭니다.

 

 

작품에 나오는 사랑은 우리의 모습과 닮은 데가 여전히 많은 것 같습니다. 여성이 결혼을 하려면 엄청난 지참금을 준비해야하는 관행은 지금 현대인의 삶과는 다르지만, 결혼이라는 제도가 사랑하는 당사자만의 이야기가 아니기에 시대와 장소를 떠나 다양한 갈등과 이해의 충돌을 낳기도 한 것 같습니다. 그 와중에도 순수한 사랑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인류의 영원한 꿈이 아닐까요.

 

 

 

 

4. [기타 주제] 작품과 관련해 새로운 의미를 끌어낼 수 있는 이야깃거리를 가지고 계신다면 무엇이든 이야기해주세요.

 

 

 

저는 앞에서도 잠시 언급했지만, 제롱트의 명대사 “도대체 망할 놈의 군함은 왜 탔어?”를 말하고 싶지만, 아마 다른 분들이 많이 하실 것 같아서요. 저는 다른 문장을 더 찾아봅니다. 제게 대본집을 덮으면서 마지막까지 웃게 해준 것은 스카팽의 능청스러움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스카팽의 마지막 대사 “저는 식탁 끄트머리로 데려가 주세요, 거기에서 죽을 자리를 볼게요.”를 저의 베스트 대사로 꼽습니다. 이 문장에는 스카팽의 간계뿐만 아니라 그의 능청스러움과 이 작품 전체의 분위기가 모두 응축되어 담겨 있다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이 한 문장으로 《스카팽의 간계》에서 느끼는 지배적인 분위기와 감정들을, 대본을 읽는 독자는 대본을 덮으면서 한번 더 강렬하게 뇌리에 각인시켜주기 때문입니다.

 

 

 

스카팽은 관객의 입장에서는 ‘귀여운’ 속임수로 자신의 주인을 속이고 잇속도 챙기려 하지만, 다른 사람의 실수로 등통이 나버리고 맙니다. ‘스카팽의 간계’는 기본적으로 문제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당시의 관습의 문제를 잘 파고들어 틈새를 이용합니다. 곤란에 빠진 사람들의 심리를 간파하여 이들이 지닐법한 일종의 공포를 해결책에 대한 기대와 잘 버무려, 상대방을 자기 자신에게 기대게 만드는 일종의 ‘가스라이팅’ 방식을 서슴치 않고 사용하지요. 물론 유쾌한 방식으로 말입니다. 어쩌면 희곡을 쓴 몰리에르는 인간의 보이지 않는 심연에 누구나 지니고 있는 욕망과 일종의 맹점(blind spot)을 감각적으로 찾아내어 이야기를 만든 인물이 아닌가 싶습니다. 몰리에르의 천재성이라면 바로 이 점에 있지 않을까요.

 

 



#스카팽의간계 #몰리에르 #디다스칼리 #안세하번역가 #사소서사 #극단디다스칼리1기 #북클럽 #대본집 #서평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레이스 2024-02-07 23: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런 질문들에 답을 !
전문가들의 대담인가요?

초란공 2024-02-07 23:23   좋아요 1 | URL
질문은 출판사에서 준 것이고 답은 제가 대담하듯이 꾸며보았습니다. ^^;; 이제 곧 텀블벅 북펀드 시작할듯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