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이 공존하는 공간에서 끊임없이 부유했던 한 인간의 고백록' 






D.H. 로렌스의 에세이 귀향을 읽는다. 제프 다이어의 미루고 짜증내도 괜찮아를 읽고 로렌스라는 인물에 좀 더 관심이 갔다. 다이어의 설명에 따르면 로렌스 자신도 뭔가를 결정하는데 애를 먹곤 하고, 오랫동안 폐렴과 같은 증상으로 상당히 성마른 성격을 가진 예민한 인물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자전적인 성격이 강한 로렌스의 소설만으로는 그의 모습을 상상하기에 여전히 제한적이고 파악하기에 쉽지 않다고 느꼈다.

 


귀향은 영문학 전공인 번역가가 그의 에세이 중에서 자전적 요소가 강한 글을 뽑아서 번역한 에세이 모음집이다. 로렌스라는 인물에 대해 좀 더 궁금하지만 부담스럽게 시작하고 싶지 않은데다, 로렌스가 어께에 힘 빼고 쓴 책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말하자면 로렌스가 '문학적 기교나 표현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진솔하게 밝히는' 수필집인 셈이기에 지금 로렌스에 대해 내가 갖고 있는 관심사와 잘 맞는 다고 생각한다.

 


다이어의 미루고 짜증내도 괜찮아는 저자가 주로 로렌스의 '서간집'을 기반으로 로렌스의 면모를 들여다본다. 다이어가 언급한 사항과 귀향의 연보에서 내가 다르다고 느낀 사항은 '서간집'을 출간한 주체가 다르다는 점이다. 귀향의 연보에는 로렌스의 '서간집' 출간이 1962년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내가 이해하기로는 미루고 짜증내도 괜찮아에서 다이어는 로렌스가 자비로 7권짜리 책을 출간한 것으로 언급해 놓았다. 이 부분은 다시 확인해봐야겠다.


 

내가 처음 접한 로렌스의 소설은 무지개. 앞부분 일부만 읽었을 뿐이지만, 귀향에서 로렌스는 1915년에 '부도덕하다'는 이유로 무지개가 발매 금지되는 사건을 겪었다. 이 때의 충격과 환멸이 컸던 모양인지 자신의 에세이에 마치 제 3자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처럼 자신이 "그러고는 언론과 출판, 그리고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는 저 부르주아 세계로부터 외떨어졌다는 느낌이 더욱 강해 졌다."(41)라고 건조하게 설명하고 있다.


 

읽고 쓰는 것이 자유롭지 못했던 광부의 아들로 태어나 열두 살 때 장학금을 받고 영국에서 가장 좋은 통학제 학교(노팅엄 고등학교)에 입학했던 로렌스는 이곳에서 '전혀 다른 세계'에서 온 부르주아 친구들을 만났다. 철저한 계급사회였던 영국의 모습을 처음 접하고 그 실체를 체험했던 것인데, 자신의 에세이에서 이렇게 이야기한다. "(무지개의 발매 금지 사건) 이후로 그는 영국의 부르주아 독자를 상대로 '성공'해 보겠다는 생각은 일찌감치 걷어치우고 외따로 지냈다."(41)


 

로렌스는 스스로를 마치 제3자에 대해 진술하듯, 자신을 ''라고 지칭하면서 에세이를 쓰고 있는데, 애초에 계습사회에 놓여 있는 사다리를 타고 오르려는 시도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장면 같다. 허먼 멜빌의 필경사 바틀비에 등장하는 바틀비의 선언처럼 말이다. 로렌스는 이 지독한 계급사회에서 뭔가를 해보려는 생각은 아예 걷어치우고, '나는 내 방식대로 살기를 택하겠다'고 선언하는 대목처럼 느껴졌다. '너희들이 만들어 놓은 이 담벼락에서 바둥거리지 않겠다'고 외치는 듯했다.


 

 

"나는 가난한 집 자식이다. 난 분명 지금처럼 얼마 되지 않는 수입과 매우 미심쩍은 명성의 작가가 되기 전에 환경의 무서운 손아귀에 붙잡혀 발버둥 치며 우연의 괴롭힘을 겪는 것이 마땅했으리라. 그러나 난 그러지 않았다. 일은 모두 그냥 저절로 일어나서, 난 고통의 신음 소리를 낼 일도 없었다.

   그건 유감스러운 일인 것 같다. 왜냐하면 난 틀림없는 전도가 불확실한 노동계급의 가난한 아들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국, 지금 난 어떻게 되었나?

(...)

나는 노동계급으로 태어나 그 속에서 자랐다." (43-44)

 

 


솔직하지만 좌절감도 묻어나는 자기 인식의 고백이다. 로렌스가 문필 수입만으로 살아가기 시작했을 때, 초등학교 교사 수입보다 적을 때도 있었지만 스스로를 한 번도 가난하다고 느껴본 적이 없다고 고백한다. 한 번도 굶은 적도 없고 말이다. "가난한 집안에 태어난 사람은 아주 적은 돈으로도 충분히 살아갈 수 있다"(48) 결국 자신이 가난하다고 느끼는 존재는 자기 자신뿐일 테다.


 

하지만 그는 전업 작가였고, 내면의 어디선가는 '상승'의 욕구 또한 없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세상과 잘 지내지 못한 것은 분명하다'라고 평가한다. 세속적 의미에서, 인간적 의미에서 그는 자신이 '성공'적이지는 못했다고 여겼던 것이다. 무엇이 그를 끊임없이 고립시키고 가두었을까. 내게는 이 또한 일종의 편집증을 동반하는 우울증세로 보였다. 그는 세상과의 접촉에 익숙하지 않은 듯싶었다. 깊이를 알 수 없는 단절감이 점점 깊어지는 눈빛을 통해 드러나는 것 같았다.


 

어쩌면 현실의 벽과 상승의 욕구 혹은 연결되고자 하는 욕구가 내면에서 충돌한 것이, 어쩌면 어느 문제 하나를 결정하고 끝맺으려고 해도 언제나 내게는 '분열증적'이고 성마른 성격으로 드러나게 된 것과 연관이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로렌스가 처음 '문예지'에 실린 자신의 시와 단편소설을 사람들이 읽어보고 이야기해줄 때 로렌스는 '당황스럽고 화가 나기조차 했다'라고 말한다. 나는 이 감정을 설명하지는 못하겠지만, 어떤 마음인지 이해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한 가지 단서는 로렌스의 다음 고백에 있지 않을까 싶다. "노동계급 출신으로서 나는 중산계급과 함께 있으면 그들이 나의 살아 있는 생의 맥박을 단절시켜 버리는 걸 몸으로 느낀다."(49)


 

로렌스는 45년의 길지 않은 삶을 살면서 그는 전 세계의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며 부유했다. 아이 셋과 대학교수인 남편을 포기한 뒤 로렌스를 선택했던 여인 프리다와 결혼하고서 말이다. 17살 때 심하게 앓았던 '폐렴' 증상으로 그는 일정 부분의 폐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었을 것이다. 성인이 되어 이따금씩 폐렴 증세로 고통을 받았던 로렌스. 이 책 귀향에 소개된 유년시절부터 사망에 이르기 전까지 사진을 보면서 몸은 점점 말라가고 눈빛은 점점 날카로워지는 모습으로 다가왔다. 이 모든 연령대의 사진에 나온 남자가 바로 로렌스임을 알고, 그가 삶의 이른 시기에 사망할 것이라는 사실을 아는 독자는 사진을 보면서 안타까움과 무상함을 느끼게 된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내가 로렌스의 작품을 읽는다면 아들과 연인 Sons and Lovers을 먼저 읽기 시작할 것 같다. 자신의 에세이에서 언급한 바에 따르면 이 책의 첫 부분이 모두 '자신의 자서전'이라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45년의 삶을 살았던 그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것은 사망하기 4년 전인 41살 때(1926)부터다. 이 해에 로렌스는 여동생을 만나고 돌아오는 길에 아내 프리다와 심하게 다투었고, 화가인 도러시 브렛과 정사를 가졌다고 한다. 아마 로렌스가 그림을 그리게 된 것은 로렌스를 흠모하던 귀족 출신의 화가 브렛과의 만남에서 받은 영향이 컸을 것 같다.


 

로렌스가 그림을 그렸다는 사실에 관심이 간다. 아들과 연인을 읽은 다음에 아마도 로렌스의 그림이 들어간 화집 Painting of D. H. Lawrence를 구경해보고 싶다. 말년의 그가 바라본 세계는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 있을까 궁금해진다. 찾아보니 로렌스가의 책이 꾸준히 번역되어 나오는 것 같지만 여전히 속도는 느린 것 같다. Painting of D. H. Lawrence책도 번역되어 나오면 좋겠다.


 

지금 로렌스의 연보를 보니 1919년에 '독감'을 심하게 앓았다고 나와 있다. 아마도 이 독감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인 1918년에 대유행을 시작했던 스페인 독감이 아니었나 싶다. 이 독감을 앓던 시기에 로렌스는 영국에 있을 때로 보인다. 병약했던 그는 이 당시의 독감으로 폐에 더욱 손상을 입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살아남았고, 가을에 이탈리아 피렌체로 가서 아내 프리다와 재회하여 카프리 섬에 정착했다.

 


'스페인 독감'하면 언젠가 알게 되었던 오스트리아 출신 화가 에곤 실레의 삶을 떠올린다. 에곤 실레와 그의 아내가 바로 스페인 독감으로 191810월에 사망했기 때문이다. 실레의 아내가 3일 먼저 사망했는데, 아내는 임신 6개월이었다고 한다. 에곤 실레, 스페인 독감, 실레의 솔직하고 적나라한 그림들, 로렌스의 사람과 외설 시비에 휘말렸던 그의 작품 등등을 떠올리면 귀향의 역자가 사용했던 표현 '()과 생()의 공존'이라는 표현만큼 잘 어울리는 표현이 있을까 싶다. 여기에는 언제나 '죽음'이라는 녀석이 이 둘을 감싸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20대 후반에 아들과 연인을 출간한 직후 즈음 찍은 청년 로렌스의 모습은 초롱초롱하게 빛나는 눈에 당당하고 자신만만한 표정을 한 콧수염의 사내다. 30세 즈음, 1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당시에 구레나룻을 기른 로렌스의 모습은 보다 조심스럽고 예민해 보이며, 20대 당시 보다 눈빛이 깊어지고 신중해져 보인다. 잔혹한 세계와 인간에 대한 분노와 좌절을 느꼈던 것일까. 그의 모습은 언제든 폭발할 듯 예민한 상태에 있는 것 같다. 사망하기 1년 전인 1929년의 모습은 훨씬 수척해 보인다. 눈빛은 훨씬 부드러워졌지만, 다소 초점을 잃은 모습으로 보인다. 줄곧 폐렴과 폐결핵 등으로 '()'의 경계에서 아슬아슬하게 버티던 그는 자신의 모습을 보고 점차 죽음을 직감했으리라.


 

그는 짧은 생에 동안 끊임없이 무언가에 연결되고 안착한 것이 아니라, 단절되고 부유하는 삶을 보여주었다. 노동계급에도 중산계급에도 자신이 잘 맞지 않으며 이로부터 배제 혹은 단절되어 있다는 근본적인 감각이 그에게 있었던 것 같다. 지금의 기준으로 말하자면 정규직이 아닌 프리랜서 전업 작가로서, 또 다른 의미에서 부유하는 삶의 한 가운데 있었다. 로렌스에게는 이러한 단절감과 부유하는 삶이 태생적인 조건이 아니었나 싶다. 그가 지녔던 ''(그리고 '')에의 열정만큼이나 컸던 단절감과 부유하던 삶을 다시 떠올려보니, 그는 지독히 외로운 사람이기도 했을 것이란 생각을 해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미 2021-08-13 09:2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미루고 짜증내도 괜찮아>부터 읽어봐야겠네요. 로렌스의 문장들도, 그의 삶도 인상적이예요!!

초란공 2021-08-14 00:22   좋아요 1 | URL
네^^ <미•짜•괜>은 음...뭐랄까요... 산만한듯 수다스러우면서도 은근히 웃기는 책이랄까요 ㅋㅋ 표지나 만듦새는 개인적으로 좀 아쉽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