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 주간 책 읽을 시간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했다. 해야 할 일이 여러 개 밀려 있을 때, 한 꺼번에 하지 못하는 성격 때문에 주말에도 일을 붙들고 있다. 시험 전날 항상 책상 정리를 하게 되거나 의식 같은 뭔가를 해야 넘어가는 사람들이 있는데, 내가 그런가보다. 주말에 일을 붙들고 있다가 우연히 보게 된 <파친코>의 작가 이민진의 강연을 보고 이 책에도 아주 관심이 많이 생겼다. 이 책은 이미 2017년에 출간되었고, 2018년에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간되기도 했다. 제목은 많이 들어봤지만, 지금까지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았던 것이다. 아마도 나는 이 책의 제목을 처음 들었을 때, 국내의 소설가가 쓴 소설이 영어로 번역되어서 좋은 반응을 얻었나보다 이렇게 생각했던 모양이다. 왜냐면 한국계 미국인이 한국식 이름을 그대로 고수하면서 활동을 하는 것은 흔하지 않을테니까 말이다. 


이 책이 일본에 있는 자이니치(한국계 일본인)에 대한 소설인 줄은 이번에 알게 되었다. 아마 이 책이 나올 때 즈음에 나는 회사일로 바빴을 지도 모른다. 책 제목이 '파친코'니 도박판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사건들을 소재로 했겠거니 생각하고 넘어갔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민진 작가는 7세 때 미국으로 이민간 이민 1.5세대 한국계 미국인이었다.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변호사로 일하다가 전업 작가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는 것, 물론 현재는 교수의 직함을 달고 있지만, 때때로 저널리스트로서도 활동을 했다는 것 정도를 더 알게 되었다. <파친코>가 자이니치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더 흥미로웠던 점은 작가의 남편이 일본계 미국이라는 점도 있었고, 이 소설을 구상부터 탈고까지 30년이 걸렸다는 사실이었다. 작가의 강연 및 작가와의 만남을 담은 영상을 통해 작가에 대해 좀 더 알게 되니, 작가에 대해 무한한 존경심이 든다. 시간만 있다면 밤새 읽고 싶지만 당분간은 책 읽을 시간을 내기 쉽지 않을 듯하다. 왜 하필 바쁠 때 더 읽고 싶은 책이 눈에 보일까 싶다. 내게는 <파친코>가 그런 책일 듯 하다.    


요즘 일본 정부와 우익들의 행태와 일본 사회의 면면을 보면 어떻게 일본이 이렇게 망가져버렸을까하는 생각을 하곤 한다. 일본이 그동안 많은 분야에서 앞서나갔던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의 일본 정부는 일본 국민들의 신뢰마져 제대로 얻지 못한 상태로 자기들만의 길을 가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정부와 정부를 신뢰하지 못하는 국민들과의 간극이 상당히 커 보인다. 이 현상은 무엇보다 동일본 대지진과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계기로 일본 정부의 무능력과 비도덕성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났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그 와중에 일본의 폐전 이후 자이니치에게 가해진 차별 정책과 그로인해 더욱 어려워진 이들의 삶이 이민진 작가의 오랜 작업으로 전 세계의 많은 이들에게 알려질 수 있게 되었다고 본다. 이민진 작가는 '역사에서 투명성이 중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기도 했다. 어느 국가도 완벽하게 도덕적이고 성숙한 역사를 가진 나라는 없을 것이다. 그동안 우리가 우리 역사에 대해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지만, 후손이 자신의 역사를 투명하게 접근하여, 과거의 성취와 과오를 모두 조망하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때, 긍정적인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참고로 이 소설이 애플 TV드라마로도 곧 만들어진다고 하니 기대가 되긴 한다. 하지만 작가의 영상에서 보니 이렇게 드라마나 영화처럼 책 이외에 만들어지는 2차 저작권에 대해 작가가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은 없는 모양이었다. 이 역사 소설이 외국인의 손으로 제작될 때, 어떤 작품이 만들어질지 궁금하면서도 우려가 앞선다. 작가도 이 부분에 대해서 걱정이 많이 된다고 말하기도 한다. 만약 이 애플 TV 제작에 일본인들의 압력으로 중요한 부분이 은폐되거나 보다 흥미 위주로만 가지 않을까 우려되기도 한다. 윤여정 배우도 <파친코>영화 제작에 참여중이라고 들었다. 영화가 언제 나올 지 모르겠지만, 이 영화 또한 상당한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않을까 싶다. 일본 우익들의 방해도 예상되지만, 한편으로는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일본의 자이니치가 겪어온 역사와 현실에 눈을 뜨게 하는 작업이 되지 않을까싶다. 1910년부터 1989년 까지 80년에 가까운 근현대사의 한가운데에서 한 자이니치 가족이 겪는 에피소드를 어떻게 보여줄지 궁금하다.    


이민진 작가는 PBS(우리 나라의 EBS와 같은 교육 방송)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작가로서 큰 영향을 주었던 소설이 있다면 무엇입니까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조지 엘리엇의 <미들 마치>'라고 망설임없이 대답한 바 있다. <파친코>이 한 가족의 역사, 나아가 자아니치라는 대표성을 가진 공동체를 그려낸 것처럼, 작가는 '공동체'를 그린 소설에 매력을 느끼는 모양이었다. 그만큼 그런 소설에서 많은 영감을 받은 것 같다. 다만 내가 이해하기로는 조지 엘리엇의 나레이션이 톨토스토의 소설처럼 '서술적'인 부분에서 또 상당한 독자가 편하게 읽기는 힘들 수도 있겠다는 우려를 덧붙이고 있기도 하다. 대신 미국식 스타일로, 간결하게 쓰는 좋은 작가로 애니 딜러드, 조앤 디디온, 존 업다이크, 그리고 존 맥피를 언급한다. 특히 존 맥피는 아름답고 깔끔한 문장을 쓰는 작가라고 말했다. 아마 능력이 된다면 원서로 읽어보아야 작가의 의도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파친코>보다 먼저 출간된 작가의 책으로 <백만장자를 위한 공짜 음식>이 있다. 이 소설 역시 한국계 미국인 작가의 정체성이 말해주듯 한국계 미국인 그리고 주인공의 가족이 겪는 삶에 대해서 그리고 있다. '끊임없이 한국인에 대해 쓰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작가의 강연 중 한마디가 기억에 남는다. 앞으로도 더 많은 한국계 미국 작가가 활약했으면 하는 바램이고, 보다 많은 사람들이 역사 속에서 주목받지 못한 '인간의 조건'에 대해 알게 되고 관심을 갖게 되었으면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n22598 2021-09-24 01: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번역된 한글책을 읽고 나서 원본이 더 궁금해지더라고요...조지 엘리엇의 작가는 모르지만, 왠지 원본을 읽으면 조금 알게 될 수도 있겠네요..^^